이름: yong27 (yong27@nownuri.net)
홈페이지: http://biohackers.net
2004/3/17(수) 22:30 (MSIE6.0,WindowsNT5.0) 218.147.213.106 1024x768
생물정보학은 생물학의 한분야다.  
생물정보학은 정말 생물학의 한 분야다.

전산학 전공자가 끼어들 여지가 너무도 없다.

쉬운예로... 어떤 재무회계 프로그램을 생각해보자.
최신 각종 재무이론들이 프로그램된다. 자... 그럼 여기서 재무이론을 만드는 사람은 누구인가
재무학자다.
전산학자는 단지 저걸 자바로 만들까, 씨로만들까, 유닉스에 심을까 윈도우에 돌릴까만을
고민할 수 있을뿐이다.
몇가지 더 있다. 몇몇 루틴에서... 좀 더 메모리 적게잡아먹으면서
빠르게 돌아가도록 알고리즘을 손보는일...

정작 중요한 재무이론은 큰맘먹고 회계학을 처음부터 공부하지않는한
들여다 보지도 않을꺼고 봐도 무슨말인지 이해가 힘들다.
회계학이 하루아침에 된다면, 모두다 회계사할껄...
그냥 만들어달라는대로 만들어줄수 있을뿐,
도메인날리지가 없으면, 껍데기역할밖에 할 수 가 없다.

물론, 과장된 예다. 이것말고도 문제를 풀기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공한다든가의
다양한 지원이 가능하겠지만, 도메인지식이 없으면 겉돌수밖에 없다.

이런 연구도 가능할 수 있다. 생물학자가 어떤 해결을 요하는 문제를
전산학적으로 풀어서 설명하고, 이를 전산학자가 해결하는것...
예를들어, 이러이러한 곳에서 서열을 결정하는건 어떤어떤 그래프의 어떤 패스를 찾는 문제와 같다는 식으로.....
하지만, 이래서야... 어디 전산학자가 생물정보학을 한다고 할 수 있겠는가...

이분야에 생물학지식은 거의 절대적이다. 누가 시켜서 만드는거라면야, 상관없지만...
직접설계하고, 문제해결하려면 피할 수 없다.
생물학을 공부하라~~

우리나라가 IT강국이다 어쩐다 말들 많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다는걸 이분야에 있는 사람들은 다 안다.
실제로, 누가 이미 다 만들어진 알고리즘, 이론, 모델들 가지고 만들라고 하면
그런건 잘하는 것 같다.하지만 특정 도메인영역의 문제는 손도 못댄다.
아마도 개발자는
"그 도메인영역은 그쪽사람이 해야하는거 아니에요" 라고 반문만할껄...

정작중요한건...
각 도메인영역에서 모델을 만들어내는 일일것이라고 믿어의심치 않는다.
그건, 생물학잘하지않으면 정말 힘들꺼다...


  이름   메일   관리자권한임
  내용 입력창 크게
                    답변/관련 쓰기 폼메일 발송 수정/삭제     이전글 다음글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