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yong27 (yong27@nownuri.net) ( 남 )
홈페이지: http://biohackers.net
2001/7/2(월) 03:21
Re..추가로...  
N 에게는 의미가 중요합니다. 내 삶의 의미와 나의 존재 이유는 무엇일까? 그래서 자신에 대해서 알려고 노력하죠. S 들은 이런 거 크게 고민하지 않습니다. 삶이 존재하니 내가 산다. 여기서 만족합니다. 자아실현, 자아탐구에 대한 열정은 N 에 I(내향성) 과 F(감정) 이 결합되면 더 증폭됩니다. I 일때 관심의 방향은 자신의 외부가 아니라 내부세계로 향합니다. F 일때 관심의 대상이 객관적인 사실이나 사건보다 주관적인 감정과 사람이 됩니다. INFJ 가 가장 이런 성향을 잘 보여주는데... J 에서 더 특징적인 이유는 이런 성향에 대한 탐구와 개발을 계획적이고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때문일 겁니다. 예수님이 대표적인 INFJ 입니다.


바로 전글에서 그누군가에 대한 얘기는 실수한듯싶다...
내가 함부로 그의 성격을 논하고 어설픈 해석을 내린듯 싶다.
나 자신이 아닌 다른이의 정신세계를 내맘대로 해석해서야....

윗글은, MBTI성격테스트의 분류별 해석을 내린 글이다.
가장, 극명하게 성격구분을 보여주는 예라고 생각된다.

N에 대한 얘기... 나야 말로, 삶의 의미와 존재이유에 대한 무진장한 고민에 있다.
I와 결합함으로써 그 관심은 내 안으로 향하고
T와 결합함으로써 객관적사실, 논리적근거로 향한다...
그러다보니, 이기적유전자, 사회생물학에 관한 관심이 가는가보다
어쨌건, 나의 기존의 가치관은 변화의 시점에 와있다.
이젠, 철저히 감성, 철학, 사랑을 수용할때다...

나는
나름대로의 틀을 만들고 그안에 날 가둔다...
참 많은 시간동안....
그러다, 아주가끔씩 그 안의 틀이 뭉게지고 새로운... 보다 큰 틀이 형성되고..
곧 나는 다시 갇힌다.
그리 나쁜현상이라고 생각되진 않지만 부디 그 횟수가 잦길 바라고
그 틀이 보다 크고 멋진모습이길 바란다.

성격유형에 관한 글을 읽어보면, INTP에서의 열등기능... (나에겐 S, F)
그것은 융의 무의식으로 표출되고
동양사상에서는 이 열등기능을 극복하는것을 인격완성의 목표라고 한다.
수도하는마음으로
나자신, 이세상을 사랑하며
이 인생을 살아가야겠다...............


  이름   메일   관리자권한임
  내용 입력창 크게
                    답변/관련 쓰기 폼메일 발송 수정/삭제     이전글 다음글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