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원. BiologicalDiversity가 유전정보의 총합이라면, 유전자원은 유전정보를 포함하는 각종의 생물정보를 추출해 낼 수 있는 모든 대상 자원
생물공학 기술 및 생물산업의 기반이 되는 유전자원의 중요성과 비중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 유전자원에 대한 선점 및 정보처리능력이 향후 국가경쟁력의 핵심이 될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유전자원의 분류 ==
||<|3> '''자원수준 \ 자원종류''' ||<:-4> '''유전자원''' ||
||<:-2> '''실물자원''' ||<:-2> '''정보자원''' ||
||<:> '''천연''' ||<:> '''인공''' ||<:> '''천연''' ||<:> '''인공''' ||
||<:> 유전자 || 천연 유전자 표본 및 시료 || 가공된 서열의 유전자 표본 및 시료 || 천연 유전자 정보 || 가공된 유전자 정보 ||
||<:> 세포 || 천연 세포 표본 및 시료 || 가공된 유전정보를 가진 세포 표본 및 시료 || 천연 세포 정보 (대사정보 등) || 가공된 세포 정보 ||
||<:> 생물종 || 천연 생물종 표본 및 시료 || 가공된 생물정보를 가진 생물종 표본 및 시료 || 천연 생물종 정보 || 가공된 생물종 정보 ||
||<:> 생태계 || 천연 생태계 || 가공된 생태계 || 천연 생태계 정보 || 가공된 생태계 정보 ||
== 식물유전자원과 동물유전자원의 특성 비교 ==
|| '''동물''' || '''식물''' ||
|| 품종간 유전적 변이의 범위가 넓음 <
> 유효집단 크기 산출의 어려움 <
> 집단 내의 근친,집단간 유전적 교류 빈발 <
> 소규모 집단으로 여러 지역에 편재 || 품종, 계통의 조성 및 균일성 유지가 상대적으로 용이함 ||
|| ex-situ 보존 곤란 || ex-situ 보존 용이 ||
|| 야생근연종이 거의 멸종 || 야생종이 풍부 ||
|| 가축화지역이 중요하지 않음 || 야생종 분포지역 중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