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기본 프로토콜. TCP/IP의 그 IP. I는 [[Internet]]을 뜻함 [[RFC]]는 네트워크 프로그래머들에게 유용한 정보원으로써, [[IP]]언급을 [[RFC]]를 통해한다. IpV4로 알려진 [[IP]]버젼 4는 1980년대 초반부터 사용되어왔다. 최근 새버전인 IpV6가 InternetStandardTrack으로 들어갔다. == IP주소 == 유일한 32비트 논리주소를 할당. 네트워크번호(xxx.xxx.xxx)와 호스트번호(xxx)로 나뉘며, 네트워크번호는 InterNIC에 의해 할당되어야 한다. 첫째자리의 주소는 다섯클래스로 나뉜다. ||'''클래스'''||'''범위'''||'''내용'''|| ||A||001-126||.|| ||B||128-191||.|| ||C||192-223||.|| ||D||224-239||멀티캐스트모드|| ||E||240-255||나중을 위해 예약|| [[IP]]주소를 친숙히하기위해 [[DNS]]는 전세계적으로 유일한 이름을 [[IP]]에 할당한다. == IP 상위프로토콜들 == 상위레벨의 프로토콜로 다음의 것들이 있다. * [[TCP]] (참고로, [[TCP]]/[[IP]]프로토콜을 [[Socket]]이라고 한다.) * [[HTTP]] * XmlRpc * [[SOAP]] * [[FTP]] * [[Telnet]] * [[NNTP]] * [[SMTP]]/[[POP3]] * [[SSH]] * [[IIOP]] * [[PPSP]] ([[yong27]]이 만든 프로토콜) * [[UD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