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Wiki에서 각 페이지는 PageName을 통해서만 접근 가능하며, 이 PageName을 통한 링크 걸기의 핵심적 역할 때문에 이 시스템은 전적으로 참가자들의 "좋은 PageName의 선별"에 의존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SeeAlso WikiName '''그러므로''' 새로운 페이지를 만들 때 다음 사항들을 충분히 고려한 뒤 작명하라. 적절치 못한 이름의 페이지가 이미 있다면 RenamePage를 사용하라. '''그러나''' 이 일반적인 가이드라인를 어겨서 더 나은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 그에 합당한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 BreakTheRulesWhenItCompensates ---- <> === 페이지이름에 대한 일관된 약속 === PageName을 정할 때 '''공통의 일관적 "작명법"'''을 적용한다. 그래야 나중에 다른 페이지를 참고용으로 링크를 걸 때에도 두번 세번 확인하러 가보지 않고도 이름을 정확히 쓸 수 있기 때문이다. * 한글이나 영문을 사용하되 2개이상의 어절로 구성된 경우 '''공백은 생략''' * 영문일 경우 각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하며, 모두 영어로 되어있다면 단어를 붙여쓰고 '''디귿자 괄호는 사용하지 않는다.''' See WikiName * 부정관사 a/an의 경우에, 첫머리에는 가능하면 a/an을 쓰지 않고, 중간에 오는 a는 소문자로 쓰고, an은 {{{An}}}으로 쓴다. * 한 이름 내에 한글과 영문이 섞인 경우에는 한글은 순수 한글 페이지이름의 양식을 따르고, 영문 경우는 별다른 제약이 없지만 역시 순수 영어 페이지이름의 양식을 따르는 것이 좋다.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한영 혼합 페이지이름을 피하도록 한다. 이곳 BioinfoWiki에서는 가능한한 영어 페이지이름을 권한다. See WhyEnglishPageName * 가능하면 한영 공히 특수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 apple, pine, pear 등을 포괄하는, 그 class를 대표하는 단어로 fruit을 그 단어들의 hypernym이라고 한다. 물론 fruit의 상위 개념인 thing도 apple의 hypernym이 되지만, 가능하면 i-1 level hypernym, 다시 말해, 현재의 개념 레벨이 i라면 그 것의 바로 윗 레벨 i-1에 해당하는 hypernym을 사용하도록 한다. (ProcessOfPageOrganization 참조) * 페이지 내용이 apple, pine, pear 등을 담는다고 해서 무조건 fruit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우리는 '''문제지향적이 아니고 해결지향적'''이어야 하겠다. 즉, 그 페이지가 "먹는 것에 관한 것"이었다면 설사 내용들이 우연치 않게 apple, pine, pear 들이었다고 해도, food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 === 함축성/대표성/간결성/용이성 === '''함축성과 대표성:''' 무엇보다도 페이지 이름은 직관적으로 가장 "분명하게" 떠오르는 것이어야 하며, 위의 네비게이션 바에 바로 입력해서 마치 나우누리 등지의 go 명령 사용하듯이 쉽게 갈 수 있는 "함축성과 대표성"을 지니면서 동시에 일반 문장 속에 자연스럽게 링크로 녹아들아 갈 수 있어야 합니다. ''(see also <)>>'''우발적 링크'''<)>>)'' * 예컨대, 페이지이름 중에 끝에 Pattern이 들어가는 것들을 생각해 봅시다. 모두 공통적으로 어떤 Pattern에 대한 페이지들입니다. 이 경우, "Pattern"이라는 '''단어가 하나의 공통분모 역할'''을 하게 되므로, CompositePattern, StudyGroupPattern등으로 작명을 합니다(이렇게 되면 "FindPage"에서 PageName에 "Pattern"이란 말이 들어가는 페이지를 모두 검색할 수 있습니다). '''간결성:''' PageName은 가능하면 해당 페이지를 대표할 수 있는 것으로 하되, 직관적이고 구체적이며 "간단 명료"한 것을 우선으로 합니다. ''(see also <)>>'''구체성과 차별성'''<)>>)'' '''용이성:''' 創發性와 EmergentProperty의 경우를 비교해 보세요. 둘 중 어느 것이 링크 걸기 쉬운가요? * 페이지 이름을 새로 만들 때에는, 이 이름이 앞으로 다른 페이지의 어떤 '''문장의 흐름/문맥 속에서 자연스럽게 나올 수 있겠는가'''를 생각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페이지 제목이 <)>>우리한번나우에서의모임개설문제에대해생각을<)>> 이라면 다른 페이지에서 이 페이지를 링크 걸려면 문장 밖에 독자적인 링크를 만들어야 할 것이고, 또 이 긴 제목을 자연스럽게 기억해 내기도 어려울 것입니다 -- 이전 페이지를 참고하고 정확한 페이지 이름을 확인해야만 되겠죠. 앞서의 페이지 이름은 "모임개설문제" 정도가 좋지 않을까 합니다. 그러면 문장 속에서 자연스럽게 링크가 드러날 수 있겠죠. ''(see also <)>>'''우발적 링크'''<)>>)'' === 한 페이지 내의 논의가 길어질 때 === 특정 주제의 페이지가 이미 있고, 이에 관해 "긴 토론"이 예상되는 경우 혹은 원래 페이지에서 양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경우, (원 주제 이름) + "Discussion" 이라는 새 이름의 페이지를 만들어 거기서 토론 혹은 논의를 진행하도록 합니다. 예컨대, "짜장면"에 대한 정보를 담아둔 페이지에서 어쩌다가 짜장면 찬반 양론이 나와서 말이 길어지면 "짜장면토론"이라는 제목의 새 페이지를 만들고 링크를 걸어줍니다. (''see also [Discussion]'') <)>> === 우발적 링크 === '''우발적 링크'''(Accidental Link)라는 것이 있습니다. 예컨대, 디자인에 대해 글을 써 나가다가 우연치 않게 문장 속에서 "포스트모던건축"이라는 말이 나왔다고 칩시다. 글을 쓰는 사람은 이 개념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서, 혹시 이것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있다면 자신이 만든 링크를 클릭하고 설명을 적어주겠지 하는 기대에 해당 어구를 디귿자 괄호({{{[]}}})로 둘러주거나 영어 경우 단어를 연결합니다. 새로운 링크를 만드는 것이죠. (이것을 "AskWithoutQuestion"라고 합니다) 그런데 우연히도 누군가가 이미 "포스트모던건축"이라는 이름의 페이지를 만들어 놓았던 겁니다. 그럼 페이지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의 붉은색 물음표가 나타나질 않겠지요. 우발적 링크가 되는 것이죠. 모든 페이지 이름은 이러한 우발적 링크가 발생하기 쉽도록 "쉽게 생각해 낼 수 있고 대표성을 갖는 것"이어야 합니다. <)>> === 구체성 === '''구체성:''' 페이지 이름이 너무 일반적이라면(오직 한 단어로만 되어 있다든지) 일단 좀 더 "구체성을 갖는 PageName"을 선택하려고 해야 합니다. 영어 위키 이름의 경우, MeritCameFromDemerit으로 "구체적인" 단어의 선택이 강제적으로 부과됩니다. 모인모인 같이 확장 위키이름을 사용하는 경우 이런 물리적 제약이 없으므로 페이지이름 짓기가 훨씬 자유로울 수 있지만 그만큼 조심해야 합니다. * 만약 자신이 만들 페이지이름이 짧다면, 혹시나 자신이 만들려고 하는 페이지가 '''"너무 일반적이고 너무 포괄적인" 페이지는 아닌가''' 반문해 보세요. 예컨대 ''생각''이나 ''의견''과 같은 페이지의 존재는 대부분 비효율적입니다. === 차별성 (너무 일반적인 이름의 처리) === '''차별성:''' 이름이 지시하는 대상은 지극히 구체적이면서 이름 자체가 일반적인 어휘인 경우가 있다. '''같은 이름을 쓰지만 다른 개념인 것과 충돌'''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잡지 "말"과 같은 경우인데, 이런 때에도 그 '''이름에 차별성'''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말(馬)이라는 동음이의어와 충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잡지 말이 아니고 일반적 의미의 말(언어)과도 부딪히기 때문이다. "월간말"로 이름지으면 된다. 예를 들어 어떤 잡지 이름이 "문화"였다고 치면, 이 단어는 잡지이름이라는 고유명사로서가 아니라 문화(culture) 자체를 일컫는 일반명사일 수도 있다. 페이지이름에 혼동이 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경우 접두어를 사용해서 이름공간을 분리한다. 잡지라면, {{{잡지문화}}}나 {{{월간문화}}} 등의 이름을 사용한다. 영화라면, {{{영화뭐뭐뭐}}}가 될 수 있겠다. '''그러나''' 원래의 이름 자체로도 충분히 구별이 되면서 굳이 이런 접두어를 쓸 필요는 없다. 오히려 불편한 짐이 될 뿐이다. === 단어의 병렬적 연결 === 한글로, "갑과을" 혹은 "짜장대짬뽕", 영어로 {{{AlphaAndBeta}}}나 {{{HyperVsSuper}}}처럼 두 단어가 서로 병렬적으로 연결된 경우에 단어 순서는 다음 원칙을 순서대로 따른다. 1. 만약 관용적인 순서가 있거나 그 순서에 특별히 의미가 있다면 그걸 따른다. 1. 순서를 어떻게 해도 상관이 없다면 '''사전 순서'''를 따른다. === 필요없는 말 빼기(OmitNeedlessWords) === TheElementsOfStyle의 법칙은 PageName에도 적용된다. 앞서의 "간결성"과 비슷한데, 만약 어떤 단어/글자를 빼내더라도 그 정보가 큰 손상없이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면 가차없이 삭제해라. Edward Tufte가 말했듯이 "더 이상 빼낼 것이 없을 때 완성된다." 예를 들어, "XXXX에대한설명"보다는 "XXXX설명"이 낫고, 이것보다는 "XXXX"가 더 낫다. 물론 판단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일반적 이름/튀는 이름 === 좋은 PageName에는 서로 반대되는 성질의 두가지가 공존한다. (상품의 이름을 짓는 것과 비슷한 면이 있다) 1. 일반적 이름 * 대부분의 경우 WikiWiki는 일반/보편적인 이름을 선호한다. 앞의 대표성 참고. 1. 튀는 이름 * 그렇지만 튀는 이름도 나름대로 훌륭한 PageName이 되는 경우가 있다. 즉, 시적인 작명을 하거나, 메타포와 언어유희를 적절히 섞어서 그 이름을 본 사람이라면 어느 누구도 쉽게 잊지 못할 정도라면 또 다른 면에서 "좋은 이름"이 될 수 있다. e.g. Wiki:ApostropheCatastrophe ({{{어포스트로피의적절한사용은어렵다}}}보다), {{{ListenToYourBody}}} ({{{항상몸의상태를확인하라}}}가 아니고) * '''그러나''' 이 방법은 좀 인색하게 사용해야 한다. 가능하다면 일반적 이름을 우선하도록 한다. === 발음할 수 있는 이름일 것 === 발음할 수 있는 이름이 그렇지 못한 이름보다 훨씬 더 낫다. 대부분의 경우 발음할 수 있으면 기억하기도 쉽다. === 영어약어 이름 === 영어약어인 경우, 가능한한 아래의 규칙을 지켜서 페이지이름을 만든다. 1. 영어약어를 풀네임보다 자주 사용하는 경우 * 내용을 약어 PageName 페이지에 기록한다. * 내용 최상단에 풀네임을 WikiName형식으로 기록한다. * 풀네임 페이지를 만들고, 달랑 약어 PageName만 링크한다. * 이유는 PageName이 가지고 있는 word의 의미를 적극 활용하자는 의도이며, DontRepeatYourself의 원칙을 지켜서, 풀네임페이지에는 링크외에 아무것도 적지 않는다. * 예제페이지 : [[PCR]] 1. 약어가 있긴하나, 풀네임을 더욱 자주 사용하는 경우 * 풀네임 PageName에 내용을 기록한다. * 내용 최상단에 약어를 쓴다. * 이유는 이경우 약어가 자주쓰이지 않기 때문에 굳이 약어PageName을 쓸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 약어링크를 자주사용하는 경우 약어PageName만으로 페이지를 만들수도 있다. * 예제페이지 : [[OOP]] 1. 동일약어의 다른 내용인 경우 * 약어 PageName의 페이지에 해당 풀네임 페이지링크들을 만들어 넣는다. * 각각의 내용을 각각의 풀네임 페이지에 적는다. * 예제페이지 : [[DNA]] ---- SeeAlso WhyEnglishPageName ---- CategoryWiki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