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rictionFragmentLengthPolymorphism '리플립'이라고 발음. RestrictionEnzyme에 의해 잘려진 단편의 길이에 따라 종(species)혹은 개체(strain)에 따른 [[Gene]]의 다양성을 판별하는 방법. GeneticMarker로 활용된다. 유전자 변이의 개체간 다양성은 예상보다 심하다. 인간에서 다형성의 빈도는 0.03-1%로 생각된다. 100-3000개의 염기쌍을 인지하는 RestrictionEnzyme으로 [[DNA]]를 절단하면 [[RFLP]]가 생길 확률은 0.1-4.0%가 된다. RFLP는 5 mg 정도의 [[Genome]] [[DNA]]만 있으면 분석이 가능하다. [[RFLP]]는 가족간에 상호 우성(codominant)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가족의 확인 또는 변이의 진단이 용이하다. [[RFLP]]는 ProteinStructure의 이상을 밝혀 낼수도 있으며,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의 근접부의를 찾아낼수도 있다. 인접 유전자의 위치에 가까우면 유전자의 동일분리(co-segregation) 확률은 100%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인접유전자의 [RFLP]를 통하여 질환 유전자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인접 유전자의 RFLP를 유전적 표지자(GeneticMarker)라한다.그러나 표지자의 역할을 하기위해서는 20 cM(20,000KB)이내에 근접되어야 한다. [[RFLP]]는 유전병의 산전 또는 산후 진단에 가장 널리 이용되는 유전자 진단법중의 하나이다. [[RFLP]]의 가장 흔한 형태가 [[VNT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