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번역판 제목 미국 최고의 교수들은 어떻게 가르치는가 KenBain지음. 최고의 교수들을 구분하는 여섯 가지 질문 <> 가르치는 것이 단지 강의만이 아니라 학습을 돕고 장려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해당된다. from TeachingWithYourMouthShut == 학습에 대하여 무엇을 이해하고 있는가 == 내적동기를 강화시키는 WGAD 교수법 {{| 학기초에 학생들에게 언제든 누구든 '그게 대체 나랑 무슨 상관이냐(What gives a damn)?' 이란 질문을 던져도 좋다고 먼저 이야기 한다. 그리고 실제로 어떤 학생이 그런 질문을 던지면 하던 강의를 멈추고 그 순간 다루고 있던 내용이 - 그것이 얼마나 난해하든, 또 넓게 봤을 때 얼마나 사소한 것이든 간에 - 왜 중요하며 다른 중대한 질문이나 과목의 쟁점들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설명해 준다는 것이다. |}} == 어떻게 강의를 준비하는가 == == 학생들에게 무엇을 기대하는가? == 부정적 고정관념의 희생자들, 별도의 부담 --> 고정관념에 대한 취약성 (sterotype vulner-ability) 자신에 대한 타인의 기대가 높을수록, 자신을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선을 의식하지 않을수록, 성취결과가 높다. 최고의 교수들은 1. 학생 개개인의 가치를 발견하려고 노력하고, 인정한다. 1. 학생들의 성취능력에 대한 굳은 믿음 가장 중요한 것은 이것이다. 스승의 진심이 담긴 기대, 도전적이지만 현실적인, 그리고 학생들의 학업을 진지하게 대하는 긍정적인 기대야말로 학생들의 의욕을 북돋을 수 있다는 것이다. 코헨의 실험 * 실험 : 에세이 써서 제출하기. 코멘트를 듣기 위해 찾아오는데, 인종별 차이가 있는가? * 결과 : 있었다. 이것은 편견에서 기인한다고 가설 * 재실험 : 높은 기대치와 확신의 결합으로 격려. 더 멋지게 쓰더라. 좋은 성적을 받는 것에 대한 걱정과 근심보다는 '''지적인 흥분과 호기심을 자극''' 희망적인 강의 계획서 1. 학생들이 얻을 수 있는 것들을 명확히 알린다. 1. 학생들이 해야할 일을 자상하게 설명 1. 과목의 특성과 과정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를 간략히 제시 1. 믿음 그리고, 정직한 평가 보충수업보다는 우수생 워크샵에 참여. 어떤 워크샵이냐면, 1. 5,7명으로 구성된 그룹이 모여 아주 어렵고 복잡한 문제를 푼다. 1. 촉진자 선정 : 학업능력이 좋고 대인관계 기술이 좋은 학생들 1. 학생들이 자신의 교육에 대한 자율권과 통제권을 가짐 인격발달에 주목한다. "인간으로서 당신은 누구인가?", 마스터클래스식 접근법. 공식을 대입해 답을 얻는 능력 보다 비판적 사고력 == 어떤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는가 == 두가지 테크닉 * 효과적인 말하기 * 학생들의 입열기 == 학생들을 어떻게 대하는가 == == 어떤 방법으로 학생들과 자신을 평가하는가 == ---- bioxp 교수법스터디 책. 역설적이게도 가르치는 사람 뿐 아니라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 봐야할 책 -- [[yong27]] <> 이러한 교수법이 아니더라도, 잘 하는 학생도 있다. 스스로 요령을 아는. 하지만, 이 방법은 그렇지 않은 많은 학생들을 잘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렇게 교육받은 학생은 아마도 스스로 잘한 학생들은 알지 못할 이들만의 인식의 틀같은 것이 있을 듯 하다. -- [[yong27]] <> ---- Category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