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mgon's homepage

너무나도 많은게 부족합니다만 여러분들이 잘 가르쳐 줄 것으로 믿고 새롭게 시작합니다. 많은 지도 부탁드려용~

Proteomics

주어진 환경에서 유전체(genome)에 의하여 발현되는 단백질들을 단백체(proteome)라 하며, 이를 연구하는 학문을 단백체학(proteomics)이라고 한다. 어원은 "the set of PROTEins coded by a GenOME"에서 비롯되었다.

proteome analysis의 대략적인 work flow

proteome purification -> sample display(display에는 2-D Electrophoresis의 고전적 방법과 MudPit(MultiDimensionalProteinIdentificationTechnolgy)라는 대표적인 방법두가지가 있다. -> 이들로 부터 얻어진 것들을 무엇인지 identify(대표적인 방법:[MALDI-TOF MS(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s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 비로소 proteome을 분석하기 위한 raw data를 얻음

SNP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cale-free network

... 연속적 위계에서는 어떤 하나의 노드를 그집어 내서 그것이 모든 노드들을 특징짓는 노드라고 내세울 만한 그런 노드는 없다. 이들 네트워크에는 내제적인 척도(intrinsic scale)란 없는 것이다. 바로 이것이 우리 연구팀이 노드의 연결선수가 멱함수 법칙적 분표를 따르는 네트워크를 척도없는 네트워크(scale-free network)라고 부르기 시작한 이유이다... - 'LINKED' A.L.바라라시 저 중에서 -

우리 생물계에서는 최근 p53단백질의 허브적 속성으로 인해 암의 배후에서 진행되는 분자 수준의 과정을 이해하는 데 열쇠를 제공한다는 페이퍼도 나왔다.

http://stat.kaist.ac.kr/hal1.jpg

scale-free network image

Q & A

1.리눅스로 서버 운영하는 것이 윈도우 보다 안정적인이유? 아시는 분 a 질문이 이상한가여?

2. 생물정보학... 정말 뭘까요? 학문일까요? 아님 -omics 연구를 위한 tool?

링크거는 방법

날적이

형용이형 소개로 이곳을 첨 알았을 땐 참 재미있게 이 곳을 꾸려나가려 했는데... 오랜 방황 끝에 다시 이곳에 왔습니다. 다행히도 내 페이지가 없어지지 않았군요.(형 고마워요~) 전 BTC2기를 들었던게 어제 같은데 벌써 3기 재수강도 얼마 남지 않았네요. 아직도 overview에 머물고 있는 수준이지만, 이번 3기는 나름대로 성과가 있었다고 생각이 됩니다. 이것으로 그동안의 고해성사는 끝~

To cromgon


CategoryHome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