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03-06] || [../2003-08] || (->) || ---- == 2003-07-04 == 정말 필요로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 며칠전부터 계속... 게시판 프로그램을 하나 만들어볼까 구상중이다. 가끔씩 들어오는 웹사이트 관련 부탁들 들어줄라구, ZeroBoard, 테크노트 이런거 쓰다보믄, 불편한점, 문제점들이 자꾸 보인다. 그래서 함 만들까 구상중인데, 목표는 1. 기존 게시판 프로그램의 단점들 극복 1. WikiWiki 및 WebLog의 내부적 연동 1. [XML],[RSS], ExtremeProgramming 등 IT관련 새로운기술들 및 DesignPattern,[OOP]등 실습 어제도 내입에서 나왔던 얘기지만, [HMM]이 어쩌고저쩌고 하는 복잡한 학술프로그램을 만드는것보다, 실제 더 많은 사람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을 만드는것이 더욱 값진일이 아닐까한다. 혹시 모르지... 나도, 상업적이용시 돈받는 정책을 운영하면 돈도벌게될지... == 2003-07-08 == TheMatrix에 갇혀있는 느낌이다. 챗바퀴처럼 반복되는 하루하루. 특히도, 출퇴근하면서 보내는 도합3시간이상의 길거리에서 보내는 시간들은 이 느낌을 더 강하게 제공한다. 내가하는일, 나의 일상들이 지겹고, 반복되게 느껴지기 때문일까.... 그건 아마, 나 자신이 그런 틀안에 즉, TheMatrix안에 스스로를 가두고 있슴이다. 내가 하기에 따라, 나의 삶을 일상을 새롭고, 기발한것들로 바꿀 수 있다. 중요한건 내 자신안에 있다. "이 매트릭스안을 벗어나려면?" 이란 메신저아이디에 각각의 반응 * 빨랑 전화받고 나와 --쌍칼 * 키메이커를 찾아봐. 네 맘을 열어줄 키메이커 --선자 * 거참 철학적인 아이디군 --짱성 ---- RecentChanges를 [RSS]출력하도록 오리지날 MoinMoin을 보고, 수정중. 현재, UniCode관련에러에서 멈춰있다. 머가잘못된거지? {{{ UnicodeError: EUC-KR encoding error: invalid character \u3f3c }}} [XML] 파서는 euc-kr 한글 코드를 처리해주지 못하나, UniCode로 변환된 한글은 별 무리없이 처리한다. 따라서 euc-kr 문자열을 [UTF8]등으로 파일 코드를 변환한 후에 [SAX]나 [DOM]을 적용한다. euc-kr 문자열 s를 utf-8 문자열 u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from PyKUG:XML에서한글처리하기 {{{#!python u = unicode(s, 'euc-kr').encode('utf-8') # euc-kr ---> utf-8 }}} 일단, [RSS] 작동. RecentChanges 로그기능은 잠시 보류. NoSmokeMoinMoinBsn에 업데이트 ---- == 2003-07-11 == [Perky]씨 홈페이지에 오랜만에 들렀다. [Blog]와, WikiWiki를 같이 이쁘게 꾸몄고 ViewCvs로 퍼키플그램도 볼수있다. 나도 블로그를 새로 설치하고싶은맘이 굴뚝같지만, 머... 글재주도 없고~ 쩝... 당분간은 MonthCalendarMacro에 만족하고 써야지. 한동안 안가봤던 PythonKoreaUserGroup도... 예전엔 무지많이 갔었는데... ---- 지니의 부탁으로 잠깐 손본 다음부터 이창 안뜨게 하기 JavaScript {{{ ... 중략... 닫기 }}} 테스트안해봐서 작동여부 불투명. 아마 조만간 에러난다고 연락올듯. ---- [picxenk]가 구독하는 XenBio:NewsFeeds 참고. FeedReader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BioinfoWiki, Sk8Wiki의 RecentChanges [RSS]도 작동하는것이 신기함. 내... [RSS]를 지원하는 다른 위키위키 및 블로그들을 계속 찾아봐야겠다. 또다른 즐거움의 시작이네.. ---- == 2003-07-24 == DrugDiscovery에 관한 자료수집중. [Bioinformatics]기술을 신약발굴에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까, 생각중... 현재 두가지정도가 바틀넥이라 여겨진다. 1. 아무래도, 신약물질 스크리닝을 위해선 정확한 ProteinStructure예측이 꼭 필요할것 같은데, 지금 현재의 오차많은 예측기법으로, 해당 구조에 들어맞는 화합물을 선별해낼 수 있을까. 1. BiologicalDatabase검색으로 문헌조사하는 방법은 오로지 텍스트검색이므로 문제가 있다. 약물로서의 작용가능성은 미묘한 구조적차이에 있을텐데, 그것이 DB의 일반 description에는 드러나지 않기때문이다. ''얼마전 개최되었던 e-Drug Discovery Symposium을 도강 했었는데요. ^^ Chemoinformatics쪽 내용 이야기가 많이 나오더라구요. 혹시 참고하실게 있으실까봐 링크하나. ^^ http://jungin.postech.ac.kr/vod_board/list.asp --[indigoH]'' Thanks ---- BulletinBoard 쓰기 시작. 모두가 주절주절 얘기들 늘어놓는 공간이 되길 ---- || (<-) || [../2003-06] || [../2003-08] || (->) || ---- CategoryWebLog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