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04-05] || [../2004-07] || (->) || ---- == 2004-06-01 == MonthCalendar2Macro 구현중 ---- 소프트볼 경기가 있었는데, 이런 치욕적인... 병살을 치고말다. ㅡ.ㅡ;; 아직까지 진정이 안되네 ---- == 2004-06-02 == 관심서적. http://www.ypbooks.co.kr/ypbooks/WebHome/specdm/specdm.jsp?p_isbn=2429600019 ---- == 2004-06-04 == {{{#!python TypeError: cannot concatenate 'str' and 'NoneType' objects }}} 의 에러이유는... None 타입의 데이터에 '+=' 연산을 실행할때~ ---- == 2004-06-08 == 프로기사들의 한자별명 (꼭 마치 호 같은게 재밌다.) * 신산(神算) 이창호 * 전신(戰神) 조훈현 * 독사(毒蛇) 최철한 * 괴동(怪童) 목진석 * 폭풍(瀑風) 송태곤 ---- MonthCalendar2Macro 로의 변환 그 두번째. 공교롭게도, 지금 막 수정부분은 작년 이맘때... [2003-06]. 꽤 괜찮게 보여지는 글들도 눈에띤다. 특히도, 어느 박사님과의 대화... 바로 [[http://blog.naver.com/yong27/100003099391|포스팅]] ---- 노처녀로 남기위한 15가지 조건 http://www.najongin.com/blog/?id=blog&no=163 이거 남얘기가 아니다. ---- 정말 안낫고 있는 허리부상... 조금씩 나아지긴하지만, 유연하지 못하다. 수영만한 물리치료가 없다던데... [[http://www.ansi.or.kr/01_html/board_view.asp?notice_flag=01&number=49&page=1&startpage=1|안양운동장 수영장]]에 좀 가야할듯. 월 회원은 담달로~ ---- == 2004-06-10 == 어디까지가 본능이고, 어디부터가 학습일까...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110205&docid=813375|지식iN 질답]]을 통해, 이 부분은 좀 집고 넘어가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갓난아이가 엄마젖을 빠는 행동은 본능... 높은곳에서 뛰어내렸더니 다리가 부러졌다. 그래서 아펐다. 그래서 담부터 그곳에서 뛰지않는다는 학습... 곤충의 생식은 본능?학습? 내 답변이 좀 지나친감이 없잖지만, 그래도, 이런식의 덧글을 보니, 기분이 좀 상하긴 했다. ---- == 2004-06-11 == PythonKoreaUserGroup 작은세미나 그 [[http://bbs.python.or.kr/viewtopic.php?t=20772|두번째]]. 이번, 주제는 [Twisted]. 역시나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프레임워크였다. 유용한 DesignPattern들도 녹아들어있고, 소스코드들의 변수이름까지 예사롭지 않다. 이 프레임워크를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NetworkProgramming의 웬만한 부분들은 다 꿰어차지 않을까 싶다. 개인적으로는 DistributeSystem등에서 대규모 [BLAST]ing 같은 분산작업의 스케줄링 및 작업분산화에도 유용할것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YongEiBoard도 Twisted기반으로 만들까 생각중... 오랜만에 반가운 얼굴들도 많이 볼 수 있었고, 즐거운 얘기들도 나눌 수 있었다. 조직관리,NQ,사람관계등등에 대해 새로운점들또한 느낄 수 있었다. 이 모임이 계속계속 꾸준했으면 좋겠다. 기억나는 JuneKim씨의 대사 한가지. --> 팀내 인간관계에서의 ScaleFreeNetwork '''같이 잘되자~''' 라는 모토가 바로 조직을, 사회를 발전하게 하는것. 그러고보니,,, 저 두 허브를 연결하는 노드가 바로 HybridTheCreativeOntology아닌가 ---- == 2004-06-13 == 곤충은 세상을 흑백으로밖에 볼 수 없다는 모 다큐멘타리를 본 기억이 있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그건 말이 안된다. 이 세상의 꽃들은 그런 화려한 색깔을 갖출 필요가 없단 말 아닌가. 음... 곤충은 색깔을 볼 수 있을꺼야. 만일 아니라면, 또 다른 차원의 빛의 파장을 인식하는지도. ---- 남,녀의 성은 왜 나타나게 되었는가라는 저 짧은 질문에 꽤 긴 [[http://kin.naver.com/qna/question_detail.php?dir_id=110205&docid=1557724|답변]] 작성. 이게, 역시... 답변을 쓰는 과정을 통해 나역시 새롭게 머릿속에 정의해야하는 과정을 느낄 수 있었다. 마저.. 그래... 유성생식은 바로, 좋은 형질을 나눠가진다는 장점이 있는거야... ㅡ.ㅡ;; ---- [FastaDecorator.py]를 만들었는데, 특정 패턴앞뒤로 테그를 붙이는 일이 그리 쉽지만은 않았다. 꽤 많이 돌아돌아... 문제해결을 위한 약간은 다른 방법을 써서 풀어본셈. 오히려 UnitTest코드들이 생산시간을 더 느리게 하지 않나라는 생각마저 들었다. 지금 생각해보니, [DOM] 소스코드를 좀 살펴보면 도움이 되었을 뻔. 이 코드는 BioPython 커뮤니티에도 함 보내볼만 하다는 생각이 든다. (좀 두고보고...) ---- JuneKim씨의 또다른 FastaFormat 내 패턴매칭관련 코드 ---- == 2004-06-14 == 오랜만에 각 [Blog]들을 둘러봤더니, 잼나는 포스트들이 많다. 관심포스트. 시간나는데로 TrackBack작성요망. * [[http://blog.naver.com/zurgwooree/120003246397|바둑으로 미인을 취하다]] * [[http://blog.naver.com/2_jang/120003242215|구글이 네이버를 인수?]] * [[http://ilovja.typepad.com/unix4mac/2004/06/what_else_can_y.html|Gmail]] * [[http://wangmul.egloos.com/559167/|프로그래밍을 잘하려면 커뮤니티를 잘 활용하라]] ---- 페이지 로딩중 효과 JavaScript {{{ 본래 문서 }}} ---- == 2004-06-15 == 우와... 새로운 개발환경을 봤다. 이 힌트는 JuneKim씨로 부터 얻긴 했지만... [FastaDecorator.py]의 일부분을 수정하면서, 그래도 저게 동작하는지 확인하려면, 예전같았으면, 소스를 긁어서 쉘에 붙이고는 실험했겠지만, 혹시나 하고, MoinMoin의 text디렉토리에 대고 바로 [Python]실행하니깐 돌드라. UnitTest코드가 있기때문에,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이 쉽게 가능. 일종의 개발환경인 셈이다. 여기 WikiWiki에서, 직접 소스를 편집하고, UnitTest 체크를 실시간으로. ---- 매일, 혹은 일주일 마다, 윈도우 배경화면을 자동으로 바꿔주는 프로그램, 웹사이트는 어떨까. 영어한마디, 혹은 오늘의 운세같은걸 같이 보여주면? ---- 여자가 남자보다 유전적으로 [[http://my.dreamwiz.com/handmsj/health/heah/adl.htm|우월하다?]] 허나, 또 다른 생각을 해보면, 각종 운동 신기록들은 다 남자에 의한것이고, 노벨상수상자의 대부분도 남자요, [Baduk] 타이틀 보유자들도 대부분 남자인데... 어쩌면, 여자의 잠재력들이 환경등에 의해 가려지고 있는건 아닐까 생각이 든다. 게다가 2세를 위한 생물학적 준비들 때문에 많은 부분 투자를 해야하니... ---- == 2004-06-18 == 소변검사의 과학적 합리성에 의문이 간다. 대부분 소변검사는 소변의 단위 리터당 해당성분 얼마(mg 혹은 M, 등등)... 즉 농도에 의존하고 있는데, 물을 많이 마셨을 경우와, 적게마셨을 경우의 차이점은 어쩐단 말인가. 소변내 [Bilirubin]의 수치가 높다고 할때, 물을 많이 마셔서 농도가 낮게 되면, 그럼 그걸로 끝인가? ---- 셀레늄. 정말 친숙한단어. 흥미진진한 소식가운데 [[http://bric.postech.ac.kr/biotrend/retrend/retrend_view.php?nNum=88047&nPageNum=1&nType_id=2&szSearchKey=&nCategory_id=-1&szSearchDate=&szSearchMon=|하나]]. 이게 양이 너무 많으면, 오히려, [Diabetes] 발병가능성이 증가한다고... 그렇게도 몸에 안좋다는 자유라디칼이지만, [Insulin]감수성조절에 일부 필요하다나... 어렵다 어려워~ ---- 티비서 베스트극장 프로를 봤는데, 거기나오는 꼬마가 걸작이더라. 누군가는 해야한다는 연극 성문역할, 아무도 안한다니까 그럼 자기가 한다는 그 얘기에서 울컥~ 어쩌면 우리의 교육은 사람들을 모두 보편적이게만 만드는것 같다. 특이한 생각, 특별한 생각들이 존중받는 다양한 가치의 세상을 기대한다... ---- BioMatics의 박사과정모집에 관한 [[http://biomatics.kaist.ac.kr/application_information.html|페이지]]. 자꾸 관심이 간다. 자... 어쩔텐가~ 일단... 드는생각, 뭐랄까. 내가 연구를 한다면, 좀더 준비해서, 내가 주제를 갖고 들어가고 싶다. ---- == 2004-06-23 == [GNU] GPL에 관한 궁금함. ---- 특정사이트를 공격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 http://www.ogrish.com/ 아무리, 정보공유 어쩐다 저쩐다 해도, 저사이트는 막고싶다. ---- 민감한 사안에 대한 토론이 많다. 이렇게 된 현실이 무지하게 밉다. 우리나라의 이라크관련, 파병관련, 외교관련 인사들은 복잡/민감한 국제관계속에 멀뚱하니, '''어리버리하게''', 파병한다 어쩐다 결정해놓고선 제대로 뒷통수맞았다. 그들이 좀더 정신차렸더라면, 좀더 협상능력을 갖추었더라면... 앞으로, 향후일처리가 무지하게 걱정된다. [KLDP] BBS의 파병관련 긴긴 [[http://bbs.kldp.org/viewtopic.php?t=39549&start=80&postdays=0&postorder=asc&highlight=|쓰레드]]중 하나. {{| 대한민국 이라는 이름.. 별로 안 중요한데요? 우리의 민주주의를 지키면서 우리의 후손들이 이 땅에서 배불리 먹고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다면. 저는 미국에 절 이라도 하겠습니다. 그뿐인줄 아세요? 제가 어느날 문득 이민을 가서.. 그 나라의 시민권을 획득한다면 그 나라에 충성을 바치고 그 나라의 국가를 부르겠습니다. 포인트가 뭡니까? 대한민국 이라는 체제의 자존심을 지키는게 우선인가요? 아니요. 내가 살아가는 영역, 내 가문, 우리 이웃의 행복추구권과 그것을 담보해줄 경제력과 실리를 추구하는 것. 그것이 전부일 뿐입니다. 민족적 자존심이니 뭐니 그건 자연적으로 얻어지는 결과일 뿐입니다. |}} 저 얘기에 대한, 정말로 합당한, 근거있고, 합리적인 반론을 펴고 싶다. 지금까지, 저러한 비슷한 류의 생각들을 많이 만나왔었다. 그때마다, 난 그게 아니다라고 얘기하지만, 그리 설득적이지 못했다. 명분과 실리... ---- KLDP:한국에서오픈소스하기 페이지를 보고, 다시금 불붙는 마음. 일단은 만들어보고싶은것 * YongEiBoard 류의 wiki + blog + bbs * PyGame을 이용한 특정 PPT 근데, 왜 못하고 있나? * 시간이 없어서 * 실력이 딸려서 ---- == 2004-06-24 == 한국동물자원과학회 http://www.ksast.org ---- == 2004-06-27 == KLDP:KLDPAdAlliance 를 보고 나도 배너 추가. 좀더 다른 곳들과 섞이고자 안달하는중. ---- == 2004-06-28 == [PyXML]을 이용한 PolyPhred결과 정리중. 2.3M의 좀 큰 [XML]파일이다보니, 메모리상에 어떻게 관리할까가 관건이다. 대안은 * [SAX]으로 [Parsing]한 후 각 contig별로 pickle dump. 필요시마다 contig들을 pickle load * [DOM]으로 "" * [XPath]로 직접 contig검색 그냥 DOM으로 하는 건 속도나 메모리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2.3M라면 그렇게 큰 문제는 아닐 듯 하나...). SAX나 pulldom을 고려해 보세요. --JuneKim [Medusa]-[Quixote] 웹어플리케이션에서 저 XML의 일부내용들을 보여줘야할 필요가 있어서 그랬습니다. 그 안에 contig라는 이름의 노드가 1000개 정도 있는데, 전체 doc 객체를 메모리상에 항상 들고 있는것이 불필요하다 생각되어, 각 contig별로, 필요한 정보만을 dump하여 필요할때마다 load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습니다. ---- == 2004-06-29 == [BRIC]뉴스중 [[http://bric.postech.ac.kr/biotrend/retrend/retrend_view.php?nNum=88479&nPageNum=1&nType_id=2&szSearchKey=&nCategory_id=-1&szSearchMon=200406|컴퓨터로 디자인한 효소]]. 반응속도를 십만,백만배 증가시킨 새로운 효소라... 옛적, 저 분야가 무진장 하고싶었었는데... ---- || (<-) || [../2004-05] || [../2004-07] || (->) || ---- CategoryWebLog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