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foSarangNet's GuestBook
 Front   Sefiroth   Category   Board   Guest   PDS   Blog   RecentChanges 

WRITE
    보드 관리설정(Guest)   Register 165   visitors 2/6048
   No, 130
  이름: 김지영(유령) (ji_ryoung@orgio.net) ( 여 )
  2003/11/21(금)
 
ㅋㅋ 글 냄기고 도서관갈라구 들렸다네..
머 굉장히 홈페이지 어렵다 생각했는데 그래두 방명록 찾아서 다행이구..
난 밥먹구 가야지 너두 몸관리 잘하구 조은하루 되숑~
글구 괌 갔다오면...내 미니홈피에다가 올리는거 잊지 말구...쿠쿠쿠^^
글구 종종 들를께 그럼 안녕^^


211.180.34.232 yong27: 아무래도... 사람을 잘못 아신듯싶습니다. 그대가 뉘신지 잘 모르겠거
니와, 전... 전... 괌(?)을 갈일이 없거든요, 한겨울에 괌에 가면 색다
르겠죠? 아, 가고파라... 그럼, 다시 확인하시구 글남기시길~  -[11/21-10:28]-

203.246.196.181 urseason: 음... 답글을 남기길 간절히 바라는군...
........................좋은 소식 있길~!!!  -[11/21-12:51]-

답변/관련 쓰기 폼메일 발송 수정/삭제
       
   No, 129
  이름: 쭈 (jooworld@hanmail.net) ( 여 )
  2003/11/19(수)
 
바이오 인포메틱스에 관심이 많아서 혼자 공부를 시도 하려 하다가...도움이 너무 필요 한 상황에 도달햇습니
다.
그래서..이 사이트를 누가 갈켜줘서 들어오게 되엇는데요..
오프라인 스터디는 안하시나요?
하신다면 저도 함께 하면 안되는지요...
그쪽 유학에 관해서도 많이 궁금한데요...
꼬옥 답 메일을 좀 주심 좋겠네요
스터디 참여에 관해 어찌 절차를 밟아야 하는지요...


211.180.34.232 yong27: 오프라인 스터디 진행중입니다.
http://biohackers.net/wiki/Sefiroth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매주
목요일 오후 7시30분에 연대에서 합니다. 참여방법은 해당 날짜 페이지
에 필명과 참여의사를 적으시고, (걍 오셔도 됩니다.) 무작정 오시면
됩니다. 유학을 알아보고 계신 분도 있으니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
합니다.  -[11/20-09:01]-

답변/관련 쓰기 폼메일 발송 수정/삭제
       
   No, 128
  이름: 감사
  2003/11/9(일)
 
홈피 잘 보고 가여~^^


답변/관련 쓰기 폼메일 발송 수정/삭제
       
   No, 127
  이름: 김성주 (ksj1212@ms.cau.ac.kr) ( 남 )
  홈페이지: http://www.intochaos.com
  2003/11/7(금)
 
안녕하세요. 가입?인사합니다.
중앙대학교 대학원생이구요.
지능시스템 및 휴먼로봇연구실에 소속되어 있고, 지금은 이런 저런 프로젝트 덕분에 다양하게 뭔가를 하고 있
답니다.
주로 관심있게 진행하고 있는 분야는 두뇌 정보처리 모델링 이죠.
그런데, 공학도이다보니 생물학쪽의 개념은 정말 접근하기 어렵더라구요.
Bioinformatics가 정확히 어떤 범주에 속하고 어느 영역까지 포함하는지도 모르겠구요.
그래서 이리저리 생물학, 정보학 관련된 곳을 전부 찾아다니곤 한답니다.

두뇌에서 일어나는 정보처리 과정에 대한 모델을 공학적인 툴을 사용하여 구성하고자 하는데, 제가 연구하려
는 분야도 Bioinformatics의 일부라고 할 수 있을런지요.
아무튼, 자주 찾아뵙고 많은 의견들을 구하겠습니다.
가능하면 세미나에두 참석해보고 싶군요.
정말 이제는 혼자 고생하는 것두 그만 하고싶네요.^^;
모두들 건강하세요.

답변/관련 쓰기 폼메일 발송 수정/삭제
       
   No, 126
  이름: azalea (zalea@hanmail.net) ( 여 )
  2003/9/23(화)
 
아동학을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수업시간에 발표를 맡게되었는데 전혀 생소한 유전자에 관한 것이라서 딱히 물어볼 곳도 없고해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T.T)
발표부분을 대충 읽어보니까 단일유전자의 변형으로 나올 수 있는 병과 여러가지 유전자의 형태(?)에 관한 것
들이었습니다.
혹시 자료 좀 보내주실 수 있나하고 글 남깁니다.
QTL, DRD4, Apo-E4, PCR product, DNA markers 의 기본형태, short-sequence repeat(SSR)
저의 수준은 유전자에 대해 거의 전무 (";) 하다고 생각하시고 자료를 좀 보내주셨으면 합니다.
꼬~~~옥 좀 부탁드립니다.

답변/관련 쓰기 폼메일 발송 수정/삭제
       
   No, 125
  이름: wooga (981835@hanmail.net) ( 여 )
  2003/9/16(화)
 
안녕하세여...^^

바이오통계를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이렇게 고수님들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부디 답변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부탁드려여

유전자 데이타를 가지고 계층적(hierarchical)군집분석을 할때에 생기는 문제점이 무엇인지여?
가령 hierarchical clustering의   단점을 연관시켜 보았을때 문제점을 어떻게 이해 할 수 있을까여?

여러 고수님들의 답변 기다립니다.

그럼 안녕히 계세여^^


211.180.34.232 yong27: 고수는 아니지만요.. 제가 알기론
군집분석시 계층적군집분석 보다는 k-means, SOM등이 더 많이 쓰이는
데, 그 이유는 계층적군집분석은 처음에 한 브릿지로 연결되어버리면,
거기서 헤어나지 못하고 그냥 묻혀버리기 때문입니다. 즉, 최초의 얼마
간 유사상때문에 묶이면, 그 이후 변화의 여지가 없다는 얘기죠. 따라
서 유사한프로파일(기능)을 갖는 유전자를 놓칠 우려가 있습니다.  -[09/18-11:10]-

220.86.23.187 wooga: 답변 감사합니다...^^그런데....유사한 프로파일을 갖는 유전자를 놓칠
우려가 있다고 했는데...직관적으로 잘 감이 안와서 그러는데,,,좀더 설
명해주실 수 있을까여? 부탁드려여....  -[09/19-15:05]-

211.180.34.232 yong27: 위키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여기서 이야기하죠~
http://biohackers.net/wiki/ProblemOfHierarchicalClustering  -[09/22-10:28]-

답변/관련 쓰기 폼메일 발송 수정/삭제
       
   No, 124
  이름: 한승훈 (hothuny@hanmail.net) ( 남 )
  2003/9/4(목)
 
예전부터 위키관련파일때문에 자주 들렀었는데
이번에 학교 수업중에 BI관련된 것을 발표할 기회가 생겼습니다.
일반인이 쉽게 느낄수 있는 그런 자료있으시면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11.180.34.232 yong27: 일반인이 쉽게 느낄만한 자료는 저역시 갖고있지 않습니다만, 혹시 원
하신다면, 생물정보학 소개로 사용하는 PT파일을 보내드리겠습니다.  -[09/18-11:04]-

답변/관련 쓰기 폼메일 발송 수정/삭제
       
   No, 123
  이름: 공은비 (gongju519@hanmail.net) ( 여 )
  2003/8/21(목)
 
초등학생인데요..
숙제때문에.. 다리 7개 건너는거요.. 그거 어떻게 건너야 하나요
아까 보니까 무슨 그래프를 보라 했는데 잘 모르겠거든요..
그게 무슨 원리 인지
다른 숙제는 다했는데 그것만 못하고 있어요..
7개으  다리를 바다에 빠지지 않고 어떻게 한번에 갈수있는건지
엄마아빠가 3시간동안 끙끙대도 답이 안나와요..
알려주세요..알았죠..
그림으로만은 알수가 없네요..


218.147.213.84 yong27: http://biohackers.net/wiki/EulerPathProblem 페이지를 보고 왔군
요. 오일러경로문제라는 건데요. 그 7개의 다리 문제는 정답이 없어요.
즉 한번에 다 지나는 경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오일러라는 수학자가
이 문제와 유사한것들을 풀다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홀수개
의 연결선을 가진 꼭지점이 2개이하인것만 한번에 다 지나는 경로가 있다
라고요. 그 그림은 홀수개의 연결선을 가진 꼭지점이 4개이므로, 그 경로
가 없습니다.  -[08/21-01:15]-

답변/관련 쓰기 폼메일 발송 수정/삭제
       
   No, 122
  이름: 장정식 (nuinuri@hotmail.com) ( 남 )
  2003/7/11(금)
 
최근들어 wiki 사이트가 많아 지네요..^^
첫 인사 드리네요..

artificial life에 관심을 가지게 된지 얼마 안된 초짜 프로그래머 입니다.
막연하게 나마 environment simulation에 관심을 가지고 잇었는데,
우연히 다른 사이트에서 aritificial life에 대해 접하게 됐고,
이제 첫발을 내딧은 상태입니다.( 사실 한거 아무것도 없습니다. ㅡㅡ;  )

참고서적을 찾다 보니 여기까지 오게 되었네요.^^
스터디의 수준이 왠지 첫발 내딧기에는 벅차다는 생각이 들기는 하지만..
그래도 참여 하고 싶은데,
괜찮을 런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


211.180.34.232 yong27: 반갑습니다. 스터디는 항상 열려있습니다. 대신 워낙에 생물정보학분야
가 방대해서, 분야가 좀 다를수도 있을듯싶네요~ 그래두.. 언제나 환영
입니다.   -[07/11-16:02]-

211.218.236.220 장정식: 반갑게 맞아 주시니.. 감사 드립니다.
이것저것 준비를 해야하겠지요.. ?
혹시나 도움이 될만한 부분이 있으시면 알려주실수 있는지요..
^^
그럼 즐거운 주말 되시길 바라며..   -[07/12-16:49]-

220.117.56.1 indigoH: 음.. 시간이 꽤지났네요.. ^^
저도 Environmental Simulation에 관심이 많습니다.
일단 함께 참여해보심이 어떨는지요
저도 7월 들어서 합류했습니다. 일단 저질러놓고 사람들과 친해지
면 자연스레 따라가게 되는거 같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Bioinformatics 분야는 생명체 라는 한 개체를 하나
의 시스템으로 보고 그 시스템 내부의 컴포넌트들의 커뮤니케이션
에 관한 연구를 하는것 같습니다.
그러니 자연스레 EcoSystem에서의 우리가 직면한 Problem과도 자연
스레 맏닿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도움이 될만한 부분'은 어떤 의미인가요? ^^
 -[07/25-09:40]-

답변/관련 쓰기 폼메일 발송 수정/삭제
       
   No, 121
  이름: planmal (planmal@bcline.com) ( 남 )
  2003/6/2(월)
 
'Mahalanobis Distance'에 대하여
업무상 필요에 의하여 문의드립니다.
사실 저는 통계에 대한 전공자도 전문가도 아닙니다.

이곳에서도 관련 내용을 읽었습니다만,
실제로 어떻게 계산해야 합니까?
사용할 수 있는 Program or Tool이 있읍니까?

SAS에 언급이 있는 것 같은데 실제 계산에 있어서는 어떤 Program으로 어떻게 접근해야 되는지...
여러군데 문의했는데 별 대답이 없었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 계시면 친절하고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Planmal 올림.

답변/관련 쓰기 폼메일 발송 수정/삭제
       
[1] [2] [3] [4] [5] [6] [7] [8] [9] [10] [▶] .. [17]
HOME
             PREV NEXT WRITE

ⓒ Copyright 1999~   TECHNOTE-TOP / TECHNOTE.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