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foSarangNet's FreeBoard 자유게시판
 Front   Sefiroth   Category   Board   Guest   PDS   Blog   RecentChanges 

이름: Yong (yong27@nownuri.net) ( 남 )
홈페이지: http://biohackers.net
2001/7/24(화) 15:59
Re.. 답변입니다.  
HTS(High Throughput Screening)이란.. 대량으로 데이타들을 얻어내는 실험기법입니다.
대표적으로, Proteomics, DNA microarray, Large scale sequencing등이 이에 속하죠
앞글에 말씀드린것 처럼,
최근 분자생물학의 실험구조 자체가 확 바뀌여가고 있는 추세이고요..
이들 실험기법들은 데이타들이 엄청나게 쏟아집니다.
이들을 다 제대로 분석하려고 하니, 생물정보학의 중요성이 커지는거죠

데이타가 많아지면, 이들을 손수 손으로 Copy&Paste한다는건 무리죠
이들을 자동화할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만들어 직접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런분야에는 주로 스크립트 랭귀지가 쓰이게되고...
제홈에도 소개하고 있는 파이썬 역시 이런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이들(Genbank, SWISS-PROT등등)을 직접 로컬로 자기컴퓨터에 설치하고
쉽게 엑세스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거고... 이건 좀 큰 작업입니다. 컴퓨터도 좋은
서버급이여야하고...

또, 하나는 스크립트랭귀지내에... 님의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고... 이걸 적절하게 프로그래밍하서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파이썬, 펄등의 스크립트 랭귀지를 익히셔야합니다.

Biopython, Bioperl등의 스크립트랭귀지 내부 모듈들이 있는데
이는 위 데이타베이스들 genbank, PDB, EMBL, PIR-International,SWISS-PROT, OMIM, Rebase에 접속하고, 검색하고, 파싱하는 내용을 포함합니다.


(scavenge pathway 관련) 모든 유전자 군 전체를 가지고 하고 있거든요.

구체적으로 목표가 어떤것인지... pathway network를 작성하고자 하신다면,
서열만 가지고는 안되고, 이 서열들의 cDNA로 DNA Microarray를 해야합니다.
혹은, 이 서열들의 cDNA로 yeast two hybrid실험을 해서 protein-protein interaction map을 그릴 수도 있을껍니다. 단지 이들 유전자 군으로 컴퓨터를 활용하는건, 개개의 앞서말씀드린 분석방법밖엔 없는 걸로 생각됩니다... 아마도...
혹시.. 다른 방법들이 있을지는... 좀더 공부해봐야알듯.. ^^

  이름   메일   관리자권한임
  내용 입력창 크게
                    답변/관련 쓰기 폼메일 발송 수정/삭제     이전글 다음글    
번호제 목짧은댓글이름첨부작성일조회
59           >>>>>꼭 보세요! 안 보시...   이진희   05/11(수)  367
58           Re..감사합니다.     7/24 [09:29]  412
57               Re.. 답변입니다.   Yong   7/24 [15:59]  881
56   BLAST설치 완료...   박태서   7/16 [20:21]  422
55       Re..축하^^   Yong   7/17 [01:12]  433
54   [공지] 시스템 수해입다...   Yong   7/16 [17:54]  383
53   [질문]BLAST설치.   박태서   7/11 [15:48]  411
52       Re..[질문]BLAST설치.   Yong   7/12 [10:52]  503
51   조언요청!!   river   7/10 [10:52]  363
50       Re..조언요청!!   Yong   7/10 [11:07]  518

 
처음 이전 다음       목록 홈 안내 알림 쓰기

ⓒ Copyright 1999~   TECHNOTE-TOP / TECHNOTE.INC,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