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이곳으로 옮겼습니다. Yong's thinking에 쓰신 질문을 이곳으로 옮겨왔습니다.
1. 생물정보학이 왜 중요한지.
2. 생물정보학을 연구하면 어떤 파급효과가 있는지.
3. 어떤 방식으로 연구를 하는지.
4. 현재 어디까지 연구가 진행되었는지.
(현재까지 밝혀진 생물정보학 관련 동향을 포함)
위 네가지 문제에 대해서는 이곳 위키페이지에 비슷한 설명이 되어있습니다.
http://biohackers.net/Moin/AboutBioinformatics
추가적인 설명이 더 필요하시면 원세연박사님의 생물정보학 인트로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http://www.bioinformatics.pe.kr/intro/index.html
5. 단적이고 실제적인 예로서,
특정한 단백질 서열을 가지고 분석을 해서 어떤 결과를 도출해내야 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할것인지... 현재 단백질 서열을 분석한다면 어떤 정도의 결과를 산출할수 있는지..
제가 만일 새로운 특정단백질 서열을 가지고 있다면요...
일단은 BLAST 특히 PSI-BLAST를 써서 서열유사성 검색을 해보고요...
유사한 단백질 패밀리를 찾아낼껍니다.
그리고, 그것으로 Multiple alignment를 통해서 phylogenetic analysis도 해보고 싶고,
그로 인해 그단백질의 역사를 이해하고, 해당 종에서 특이하게 된 이유를 파해쳐보고 싶고요
단백질패밀리를 알아냈으니, 유사한 구조또한 유추가 가능할테고
활성부위도 알 수가 있고, 어디 어디 서열이 어떤 의미인가를 파악할 수 있을껍니다.
더 나아가 유사종의 protein-protein interaction 정보를 찾아보고, 어떻게 complex를 이루는지도 알아내고 싶고요... 그것의 genome 정보와 매치함으로써 염색체상의 위치가
어디정도이고, 그로인한 교차확률등도 확인해보고 싶습니다.
더불어, 질병과 관계된 단백질이라면, 단백질 구조를 통해서 활성, 또는 비활성시키는
새로운 케미칼을 디자인하고 싶고, 이를 실험을 통해서 활성정도를 파악해보고 싶습니다.
음... 최근엔 단백질 서열하나가지고 이렇게 하진 않습니다. HTS방식으로 왕창 얻어내고
이로 부터 왕창 분석하게 되는 경향이 있으니... 참고하시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