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1101
Comment: converted to 1.6 markup
|
← Revision 4 as of 2011-09-16 08:12:41 ⇥
Size: 1119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5: | Line 5: |
프로그래밍이 용이하도록 문서를 구조화해놓은 Interface. [XML] [Parsing]의 한가지 방법이기도 하다. | 프로그래밍이 용이하도록 문서를 구조화해놓은 Interface. [[XML]] [[Parsing]]의 한가지 방법이기도 하다. |
Line 7: | Line 7: |
그 기원은 [HTML]에 있다. 각 웹브라우져 벤더들이 각각 자신의 목적에 맞도록 인터페이스를 만들었다가 이후 [W3C]에 의해 표준안이 제시되었다. 최근에는 덜 공식적인 [IETF]에 의해 발전하고 있다. 최근 [CSS] 및 JavaScript로 문서를 동적으로 꾸미기 위한 필수 방법이기도 하다. (See also DomScripting) | 그 기원은 [[HTML]]에 있다. 각 웹브라우져 벤더들이 각각 자신의 목적에 맞도록 인터페이스를 만들었다가 이후 [[W3C]]에 의해 표준안이 제시되었다. 최근에는 덜 공식적인 [[IETF]]에 의해 발전하고 있다. 최근 [[CSS]] 및 JavaScript로 문서를 동적으로 꾸미기 위한 필수 방법이기도 하다. (See also DomScripting) |
Line 9: | Line 9: |
[Python] minidom예제 ([XML] [Parsing]) | [[Python]] minidom예제 ([[XML]] [[Parsing]]) |
DocumentObjectModel 문서객체모델
프로그래밍이 용이하도록 문서를 구조화해놓은 Interface. XML Parsing의 한가지 방법이기도 하다.
그 기원은 HTML에 있다. 각 웹브라우져 벤더들이 각각 자신의 목적에 맞도록 인터페이스를 만들었다가 이후 W3C에 의해 표준안이 제시되었다. 최근에는 덜 공식적인 IETF에 의해 발전하고 있다. 최근 CSS 및 JavaScript로 문서를 동적으로 꾸미기 위한 필수 방법이기도 하다. (See also DomScripting)
Python minidom예제 (XML Parsing)
1 # -*- coding: euc-kr -*-
2 import urllib2
3 from xml.dom import minidom
4
5 doc = minidom.parse(
6 urllib2.urlopen('http://www.kma.go.kr/weather/xml/current.xml'))
7
8 node = doc.childNodes[1].childNodes[1]
9 for child in node.childNodes:
10 if (child.nodeType == node.ELEMENT_NODE
11 and child.tagName=="local"
12 and child.firstChild.data.encode('euc-kr')=="서울"):
13 print child.getAttribute('de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