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4730
Comment:
|
← Revision 6 as of 2019-02-06 07:23:49 ⇥
Size: 338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7: | Line 7: |
목차 1. The random universe 1. SixDegreesOfSeparation 1. SmallWorld 1. Hubs and Connectors 1. ParetoRule 1. RichGetRicher 1. Einstein's legacy 1. Achilles' Heel 1. Viruses and Fads 1. The Awakening Internet 1. The fragmented web 1. The map of [[Life]] 1. Network economy 1. Web without a spider 관련페이퍼 (관심분야를 중심으로) * AssessingExperimentallyDerivedInteractionsInaSmallWorld * TheLargeScaleOrganizationOfMetabolicNetworks * CentralityAndLethalityOfProteinNetworks * TheSmallWorldInsideLargeMetabolicNetworks ---- 이책이 왠지 지금의 나의 분야에있어서 발상의 힌트를 주지않을까 느낀다. 함 봐야지. --[[yong27/2003-02]]-03 수학자 PaulErdos의 영구교수직 거절사건 넘 멋지다. 무작위성과 예측불가능성을 잃는것은 슬픈일이란거다. 난 지금껏 이런걸 두려워해왔다. 이 아저씨처럼 절대 두려워할일이 아니다. 오히려, 그런 변화들을 맞서는것이 즐겁고 숨막히는 멋진일이다. --[[yong27/2003-03]]-15 ---- 한편으로는 다~ '''감'''으로 느끼고 있는 것들이다. 허브가 중요하다는것. AlbertLaszloBarabasi의 업적은 이 '''감'''을 체계화하고 정형화해내었다는데 있다. 이책의 뒷편 레퍼런스를 챕터별로 같이 보고 있는데 볼수록 놀라운것이 많은 부분들이 [[Nature]]인용이라는것. 그의 논문들도 거진 [[Nature]]혹은 ScienceMagazine에 실리고, 그외의 다른 인용들도 살펴보면 참 다양하게 지식을 습득하고, 다독하고 있슴을 알 수 있다. '''다양성'''이다. 네트워크의 독점이론 설명에 QuantumMechanics가 등장하고, 어떤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좀 엉뚱한 방면에서 그 아이디어가 도출된다. 인간의 머리속, 과학의 발전역시 네트워크이다. 다양한 노드들과 연결들을 갖추고서 문제해결에 각각 사용된다. 뉴튼이 말하는 거인의 어깨처럼... --[[yong27/2003-03]]-19 쪼금쪼금 읽다가 이제서야 다 읽다. 네트워크의 중요성은 나역시 인식하고 있다. [[Bioinformatics]]의 많은 문제들이 이 네트워크의 이해로 부터 해결될 수 있을것이라 믿고 있으며, 이미 그 도전은 많은 부분 진행되고 있다. 나 역시 GraphTheory스터디를 필두로 MetabolicPathway 관련 및 각종 네트워크관련 아이디어를 계속해내 도출해 내고자 한다. 유난히 한국얘기가 많았던 과학책. JongPark(박종화)박사님 얘기도 나오구... ^^; 생명현상관련 네트워크의 레퍼런스들은 꼭 읽어보리라. 가만히 보면, 인생사 인간관계도 네트워크. 나와의 엣지들, 가끔은 허브하고도 연결되있지. 그리고 이 네트워크 역시 다이나믹하게 증가하구 있구, 나의 관심사에 따라 변화하구 있구.... 내 인생역시 이 네트워크를 따라 돌아가고 있따~~ --[[yong27/2003-05]]-13 허브의 이야기가 등장하면서 제시되는 '상전이(Phase Transition)',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제시되는 멱급수(PowerLaw)와 NormalDistribution 간의 차이점에 대한 이야기가 제게는 꽤나 도움이 되더군요. 막연하게나마 Distribution이라고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지만, 어떠한 성질을 대표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중의 하나라는 것을 몸소 느끼게 해준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무작위 속에서 나타나는 질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들이 평소에 System에 대해 궁금했던 궁금증들을 풀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 주었습니다. --[[indigoH]] , 2003-11-24 마크 뷰캐넌이 쓴 'Ubiquity'라는 책도 재밌으시리라 생각합니다. --[[안용열]] PowerLaw에 대한 좋은 [[http://xxx.arxiv.org/abs/cond-mat/0412004|리뷰]]가 나왔습니다. --[[안용열]] ''어려워보여요.. ㅡ.ㅡ; 감사합니다.'' --[[yong27]], 2004-12-07 며칠전에 책을 구해서 다 읽게 되었습니다. 책에 빠져서 조금읽다가 점점 전력투구하는 식으로 읽어버리고 말았군요. 느낌은 마치 전에 그저 무심코 지나쳐 왔던 골목길을 돌아가서 찬찬히 살펴본거 같은 느낌입니다. 이책의 존재를 알려준 [[yong27]]님께 감사드립니다. --[[cyppi]], 2005-04-05 |
http://e.biohackers.net/Linked |
번역판 제목 "링크". 부제 The new science of networks 네트워크에 대한 과학이야기. SeeAlso 독서토론소모임/Linked토론
AlbertLaszloBarabasi 저서, ScaleFreeNetwork에 대한 이야기들
http://e.biohackers.net/Link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