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Revision 1 as of 2007-09-05 15:07:09
Size: 310
Comment:
|
Size: 906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6: | Line 6: |
원본 프로젝트 소스와 나의 수정본을 병행 관리해야할 필요가 있을 때 작업 후 프로젝트 최 상위 경로에서, {{{ svn diff > mychange_r111.diff }}} 로 diff 파일 따로 관리 (언제 만든 diff 인지 알기 위해 리비전을 꼭 붙인다.) 이후에, 다른 곳에 나의 수정본을 반영하고 싶을 때, 위 diff 를 새 버전에 맞게 새로 만든 뒤, {{{ patch -p0 < mychange_r111.diff }}} 를 수행한다. 이 때, 다른 곳이 [Win32]등의 환경일 때는 VimEditor 에서 :set fileformat=dos 로 변경해준다. |
각종 문서파일의 차이점들을 diff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iff 혹은 .patch 파일로 만든다. 이를 적용할 때 쓰는 프로그램이 Patch 이다.
관련정보
[http://coffeenix.net/doc/misc/patch.html 패치파일 만드는 법과 적용하는 법]
원본 프로젝트 소스와 나의 수정본을 병행 관리해야할 필요가 있을 때 작업 후 프로젝트 최 상위 경로에서,
svn diff > mychange_r111.diff
로 diff 파일 따로 관리 (언제 만든 diff 인지 알기 위해 리비전을 꼭 붙인다.)
이후에, 다른 곳에 나의 수정본을 반영하고 싶을 때, 위 diff 를 새 버전에 맞게 새로 만든 뒤,
patch -p0 < mychange_r111.diff
를 수행한다. 이 때, 다른 곳이 [Win32]등의 환경일 때는 VimEditor 에서 :set fileformat=dos 로 변경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