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3 and 4
Revision 3 as of 2011-09-07 16:45:58
Size: 934
Editor: 211
Comment:
Revision 4 as of 2011-09-07 16:46:09
Size: 936
Editor: 211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11: Line 11:
주로, NucleicAcid구조를 설명할 때 등장하는 용어이다. stacking이라고들 얘기하는데, 염기들이 base pairing할 때 원래가 납작하게 생겨먹은 염기들이다보니, 앞뒤 pair들 이랑 마치 동전이 쌓이는것처럼 모양이 형성된다고 해서 붙혀진 용어다. [[Stack]]으로 인해 [DNA] DoubleHelix는 더욱 안정한 구조를 갖는다. 주로, NucleicAcid구조를 설명할 때 등장하는 용어이다. stacking이라고들 얘기하는데, 염기들이 base pairing할 때 원래가 납작하게 생겨먹은 염기들이다보니, 앞뒤 pair들 이랑 마치 동전이 쌓이는것처럼 모양이 형성된다고 해서 붙혀진 용어다. [[Stack]]으로 인해 [[DNA]] DoubleHelix는 더욱 안정한 구조를 갖는다.

스텍하면, 전산학쪽에 주로 쓰이는 의미와 생물학쪽에 주로 쓰이는 의미가 다르다.

ComputerScience

DataStructure의 한가지. pop과 push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빼낼 수 있다. 동전을 쌓고(push), 맨위의 것을 들어내는것(pop)이다. 유사한 DataStructureQueue가 있다.

후입선출의 자료를 저장하고 조회하는데 효율적인 자료구조이다. 자료가 저장된 순서의 역순으로 조회할 수 있다.

LifeScience

주로, NucleicAcid구조를 설명할 때 등장하는 용어이다. stacking이라고들 얘기하는데, 염기들이 base pairing할 때 원래가 납작하게 생겨먹은 염기들이다보니, 앞뒤 pair들 이랑 마치 동전이 쌓이는것처럼 모양이 형성된다고 해서 붙혀진 용어다. Stack으로 인해 DNA DoubleHelix는 더욱 안정한 구조를 갖는다.

Stack (last edited 2011-09-07 16:46:28 by 211)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