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1504
Comment:
|
Size: 1632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1: | Line 1: |
최근 태그를 자주 사용하게 된다. ([Delicious], [Flickr], TatterTools 등등) 적당한 꼬리표가 달림으로써, 검색 및 관리에 효과적임에는 틀림없다. (예전에 WikiWiki로 했던 관리들이 저곳으로 옮겨가는 느낌이 있긴 하지만... 사실 위키면 다 되는데, 편한점도 있으니까.) | 최근 태그를 자주 사용하게 된다. ([Delicious], [Flickr], TatterTools 등등) 적당한 꼬리표가 달림으로써, 검색 및 관리에 효과적임에는 틀림없다. 더불어 다른 사람과의(다른 시스템과의) 쉬운 공유를 가능하게 해준다는 점은 상당한 매력이다. (예전에 WikiWiki로 했던 관리들이 저곳으로 옮겨가는 느낌이 있긴 하지만... 사실 위키면 다 되는데, 편한점도 있으니까.) |
최근 태그를 자주 사용하게 된다. ([Delicious], [Flickr], TatterTools 등등) 적당한 꼬리표가 달림으로써, 검색 및 관리에 효과적임에는 틀림없다. 더불어 다른 사람과의(다른 시스템과의) 쉬운 공유를 가능하게 해준다는 점은 상당한 매력이다. (예전에 WikiWiki로 했던 관리들이 저곳으로 옮겨가는 느낌이 있긴 하지만... 사실 위키면 다 되는데, 편한점도 있으니까.)
어쨌건, 태그를 더 잘 이용하기 위한 몇가지 규칙들을 생각해봤다. (계속 추가예정)
- 가능한한 영어단어를 이용한다. 내가 단 태그가 한국어사용자만 보기를 원한다면 한글로 해도 되지만, 국제적으로 다른나라사람들이랑 어울리고 싶다면 영어단어를 이용한다.
- 가능한한 많이 달 수록 좋다. 태그들을 적을 때 마치 문장을 적는 느낌으로.
- 복합어는 분리시킨다. 즉 Evolutional psychology라는 개념은 evolution과 psychology 두개의 태그를 독립적으로 달아준다. 하지만 합성어는 합쳐서 유지한다. webdesign 은 합성어처럼 사용되므로 묶는다. (띄어쓰기도 하지 않는다.)
- adsense 광고에 관한 기사다. 여기에 google 태그를 달것인가? : adsense 태그 하나면 족하다. 그거면 google의 서브셋이고, 나중에 google 관련 정보를 찾고자 할때 추가로 찾아주면 된다. 즉 subset 에 해당되는 개념이 있다면, 너무 깊이 내려가지 않는 범위내에서 하위 개념이름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