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2152
Comment:
|
Size: 3392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18: | Line 18: |
1. 산부인과의 기술 혁신이나 예방법은 저산소증에 의한 뇌 손상을 막는 것 1. 출산 [[Stress]]는 정상적인 임신 기간을 채운 아이들에게는 매우 유익함. 제왕절개시 이를 경험하지 못함. 가진통을 포함한 모든 수축이 뇌의 발달을 촉진함. 제왕절개를 하더라도 가진통을 경험하고 하는 것이 좋음. 1. 분만손상 - 뇌혈종 등 1. 저산소에 의한 뇌 손상은 결국 뇌성마미(CerebralPalsy)를 불러옴. - 다리와 척추 아래쪽 부위, 시각 청각 부위 --> 대뇌의 넓은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정신지체 1. 엉덩이를 아래로 두었다는 것은 이미 태아들에게 선천적 이상이 존재함을 의미. 1. 진통제와 마취제 - 전신효과 진통제 --> 경질막외마취 --> 전신마취 |
|
Line 25: | Line 31: |
출산이 뇌에 미치는 영향 부분을 읽고 있는데, 출산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새삼 느껴봄. 원인과 처방과 결과의 관계. 안좋은 결과의 이유가 처방때문인지 원인때문인지 알 수 없다는 민감한 문제. 그리고 그 기저에 깔린 유전변이의 영향을 곱씹어 봄 -- [[yong27]] <<DateTime(2013-09-11T03:18:36+0900)>> |
What's Going on in There?: How the Brain and Mind Develop in the First Five Years of Life 번역판 제목 우리 아이 머리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엄마 뱃속부터 5세까지 뇌 발달의 모든 것
챕터별 중요한 내용들
- 유전자냐 환경이냐
- 미숙한 뇌가 무언가를 배우는 데 적합하기 때문. 아기의 뇌는 공부하는 기계와 같다.
- 뇌 성장
CharlesDarwin의 토끼 - 도전적인 환경이 뇌의 성장을 자극함.
- 시냅스의 선택과 정리 - 활동이 뜸해진 시냅스는 결국 시들어 죽게 됨. (유아기에서 사춘기에 이르기까지 하루에 200억개의 시냅스가 사라짐)
- 수초화(myelination)가 좋지 않을 수록 간질이 발생함. 고지질식을 처방함.
-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산전 요소들
- 임신을 계획하고 있다면 엽산을 섭취해야. 신경관 결손을 예방함. 온도도 너무 따뜻하면 안됨.
Stress - 걱정이 많으면 관련 Hormone이 태아에게 너무 많이 전달됨. 구개열(CleftPlate). 태아가 고농도의 Catecolamine에 익숙해지면 태어난 뒤에도 자신의 농도를 높게 유지하려 들기 때문에 행동이 거칠어 지고 성미가 급하며 자극에 민감하게 된다. 호르몬 이상은 동성애와도 연결된다.
- 운동 - 자궁으로 가는 혈류 제한, 산소 부족. 태아의 체온 증가 - 하지만 이득이 더 높음.
- 출산이 뇌에 미치는 영향
- 산부인과의 기술 혁신이나 예방법은 저산소증에 의한 뇌 손상을 막는 것
출산 Stress는 정상적인 임신 기간을 채운 아이들에게는 매우 유익함. 제왕절개시 이를 경험하지 못함. 가진통을 포함한 모든 수축이 뇌의 발달을 촉진함. 제왕절개를 하더라도 가진통을 경험하고 하는 것이 좋음.
- 분만손상 - 뇌혈종 등
저산소에 의한 뇌 손상은 결국 뇌성마미(CerebralPalsy)를 불러옴. - 다리와 척추 아래쪽 부위, 시각 청각 부위 --> 대뇌의 넓은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정신지체
- 엉덩이를 아래로 두었다는 것은 이미 태아들에게 선천적 이상이 존재함을 의미.
진통제와 마취제 - 전신효과 진통제 --> 경질막외마취 --> 전신마취
재밌는 이야기들
- 일반적으로 흡연자들이 비흡연자들에 비해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고.
Facebook 지인의 소개로 읽기 시작. 흥미진진함. 내 스타일의 책이라 할 수 있겠다. 언능 읽어서 육아 계획을 전면 재 검토해야겠다. 다만 한가지 원서의 출판일이 2000년이면 너무 오래된 책이 아닌가 싶은 마음이... -- yong27 2013-09-09 09:34:15
출산이 뇌에 미치는 영향 부분을 읽고 있는데, 출산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새삼 느껴봄. 원인과 처방과 결과의 관계. 안좋은 결과의 이유가 처방때문인지 원인때문인지 알 수 없다는 민감한 문제. 그리고 그 기저에 깔린 유전변이의 영향을 곱씹어 봄 -- yong27 2013-09-11 03:1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