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53378252


8958200154

What's Going on in There?: How the Brain and Mind Develop in the First Five Years of Life 번역판 제목 우리 아이 머리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엄마 뱃속부터 5세까지 뇌 발달의 모든 것

챕터별 중요한 내용들

  1. 유전자냐 환경이냐
    1. 미숙한 뇌가 무언가를 배우는 데 적합하기 때문. 아기의 뇌는 공부하는 기계와 같다.
  2. 뇌 성장
    1. CharlesDarwin의 토끼 - 도전적인 환경이 뇌의 성장을 자극함.

    2. 시냅스의 선택과 정리 - 활동이 뜸해진 시냅스는 결국 시들어 죽게 됨. (유아기에서 사춘기에 이르기까지 하루에 200억개의 시냅스가 사라짐)
    3. 수초화(myelination)가 좋지 않을 수록 간질이 발생함. 고지질식을 처방함.
  3.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산전 요소들
    1. 임신을 계획하고 있다면 엽산을 섭취해야. 신경관 결손을 예방함. 온도도 너무 따뜻하면 안됨.
    2. Influenza - 신경관 결손, Dyslexia

    3. Stress - 걱정이 많으면 관련 Hormone이 태아에게 너무 많이 전달됨. 구개열(CleftPlate). 태아가 고농도의 Catecolamine에 익숙해지면 태어난 뒤에도 자신의 농도를 높게 유지하려 들기 때문에 행동이 거칠어 지고 성미가 급하며 자극에 민감하게 된다. 호르몬 이상은 동성애와도 연결된다.

    4. 운동 - 자궁으로 가는 혈류 제한, 산소 부족. 태아의 체온 증가 - 하지만 이득이 더 높음.
  4. 출산이 뇌에 미치는 영향
    1. 산부인과의 기술 혁신이나 예방법은 저산소증에 의한 뇌 손상을 막는 것
    2. 출산 Stress는 정상적인 임신 기간을 채운 아이들에게는 매우 유익함. 제왕절개시 이를 경험하지 못함. 가진통을 포함한 모든 수축이 뇌의 발달을 촉진함. 제왕절개를 하더라도 가진통을 경험하고 하는 것이 좋음.

    3. 분만손상 - 뇌혈종 등
    4. 저산소에 의한 뇌 손상은 결국 뇌성마미(CerebralPalsy)를 불러옴. - 다리와 척추 아래쪽 부위, 시각 청각 부위 --> 대뇌의 넓은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정신지체

    5. 엉덩이를 아래로 두었다는 것은 이미 태아들에게 선천적 이상이 존재함을 의미.
    6. 진통제와 마취제 - 전신효과 진통제 --> 경질막외마취 --> 전신마취

  5. 접촉의 중요성
    1. 아기의 다양한 촉각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극이라면 뇌의 지적 발달을 도울 것이다.
    2. 온도감각도 배워서 습득하는 것이다 발달 과정 중의 의식적, 감정적 인식과 연결된 사회적 경험의 산물
    3. 매일 마사지 해준 아이들은 덜 불안해하고 스트레스 수준도 낮으며 더 잘자고 집중력도 뛰어나며 명랑하다.
  6. 아이들은 왜 방방 뛰는 것을 좋아할까
    1. 전정기능이 성숙되어야만 출산이 다가올수록 중력에 따른 몸의 위치를 파악하고 머리를 아래로 향하게 할 수 있다.
    2. 전정 자극을 충분히 하면 아기의 뇌와 정신발달에 도움이 된다.
  7. 후각
    1. 신경세포의 재생은 후각상피세포 외에는 없다.
    2. 사람의 태아에서도 7주와 25주 사이 서골코기관이 형성되지만 곧 퇴화함. - 인간의 경우 냄새를 못맡는다고 죽지는 않음
  8. 미각, 우유, 음식에 대한 선호의 기원
    1. 임신기간동안 나트륨을 먹지 못한 어미에서 태어난 쥐들은 나트륨 맛을 평생 인식하지 못한다.
    2. 모유를 먹으면 면역력이 좋은데 특히 소화기와 관련된 질환이 적다. 소화기는 면역요소가 제일 먼저 접촉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3. 모유를 먹이는 엄마들은 일반적으로 나이가 많고 교육 수준이 높으며 부유하고, 흡연이나 마약에 손을 대는 경우가 적었다.
    4. 출산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유의 성분은 성장하는 아기의 요구에 맞게 점점 변한다.
  9. 시각 뇌의 신경망 형성
    1. 시각 경험이 신경망이 형성되는 방향을 결정한다. 고양이 한쪽 눈 가리기 실험.
    2. 뇌 신경망이 제대로 갖춰지기 위해서는 시각적 경험이 특정한 시기에 주어져야 한다. (약 6개월정도 까지?)
    3. 집이나 아파트에서 자라면 수직이나 수평방향의 형상을 좀 더 잘봄. 캐나다 인디언은 천막집에서 자라서 사선방향을 더 잘 봄. --> 시각적 환경의 변화는 아기의 시각과 신경망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침.

    4. 아기가 장차 화가가 될지 박물학자가 될지 테니스 선수가 될지는 어려서 얼마나 많은 것을 보았는지에 따라 결정
    5. 생후 2개월때 의무적 응시 (obligatory looking) 뇌줄기 시각중추와 대뇌 시각겉질의 시각 통제권 싸움.
    6. 관자엽 하부가 얼굴 인식에 관여
    7. 두눈보기와 시력. 입체시보다는 시력이 일상 생활에 더 긴요함.
  10. 청력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1. 아이들은 마치 노래부르듯 높은 음조로 말하는 엄마말(motherese)를 가장 좋아한다.
    2. 신생아들은 자궁속 경험을 기억하고 있어서 그 내용을 더 듣기 좋아함
    3. 6개월동안 소리의 방향을 찾는 속도와 정확도가 점점 향상됨. 7세까지 계속.
    4. 청각장애는 미리 발견할 수록 좋다. 청각자극이 적절한 때에 필요함.
    5. 중이염은 청각자극을 못받게 할 수 있어서 서둘러 치료해야. 방지할 수 있는 3가지 방법 - 모유, 어린이집에 늦게. 간접흡연 조심
  11. 운동계의 발달
    1. 출생직후에는 뇌줄기와 척수가 아기의 움직임을 지배한다. 점점 대뇌가 그 역할을 하게 된다.
    2. 사용을 통한 조정이라는 두번째 발달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원했던 목적과 맞아 더 많이 사용되는 신경로만이 결국 살아 남는 것이다.
    3. 기어다니거나 혼자 걷기가 가능해지면 아기들의 인지 기능과 사회성이 급격히 발전한다.
    4. 보행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아기들이 너무 쉽게 이동할 수 있다는 데 있다. 평형감각과 보행 기술을 익히지 않아도 쉽게 호기심을 채울 수 있다보니 이런 감각들의 발달이 늦어지게 된다.
    5. 아기들은 안전한 환경 속에서 마음껏 뒹굴고 "안돼" 소리를 듣지 않아야 한다.
  12. 사회, 정서적 성장
    1. 정서적 토대 위에서 지적능력이 발달한다.
    2. 마시멜로 테스트 - 버틴 아이들은 더 높은 SAT 점수를 받았고, 청소년기도 무난했고 친구들, 주위 어른들과도 좋은 관계를 형성했다.
    3. 감정이 생산되는 곳이 편도체, 이를 실제로 느끼는 곳은 대뇌겉질, 그리고 이마엽의 억제작용 - 필수적인 자기통제의 이면에는 이마엽의 억제작용이 있다.
    4. 왼쪽 뇌는 좋은 기분, 오른쪽 뇌는 나쁜 기분을 느낀다. 오른쪽 뇌가 감정에 더 민감.
    5. 수줍음과 대담함, 즉 억제정도는 유전의 영향. 억제된 아이들이 공포를 더 느낌 --> 반응성이 뛰어난 편도체. 좀 더 잘 조절함. 교감신경계가 더 잘 흥분함. 오른쪽 뇌 발달.

    6. 유전은 감성, 사회성, 공격성, 신중성, 보수성 등과 같은 성격 특징의 50% 정도만을 결정한다. 나머지는 삶의 경험에 의해 결정된다.
    7. 섬세한 부모노릇 중요 - 아기의 신호에 유의하고 음식, 잠, 안락감, 애정 등 아기의 요구에 빠르고 적절하게 대응. 이후에는 간섭이 아닌 협력.

재밌는 이야기들

  1. 일반적으로 흡연자들이 비흡연자들에 비해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고.
  2. 옛날에는 대부분의 Stress가 육체적 위협에서 왔기 때문에, 당과 지방의 섭취가 매우 유용했을 것이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겪는 대부분의 스트레스는 정신적인 것이라 과식은 곧 비만으로 연결된다.


Facebook 지인의 소개로 읽기 시작. 흥미진진함. 내 스타일의 책이라 할 수 있겠다. 언능 읽어서 육아 계획을 전면 재 검토해야겠다. 다만 한가지 원서의 출판일이 2000년이면 너무 오래된 책이 아닌가 싶은 마음이... -- yong27 2013-09-09 09:34:15

출산이 뇌에 미치는 영향 부분을 읽고 있는데, 출산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새삼 느껴봄. 원인과 처방과 결과의 관계. 안좋은 결과의 이유가 처방때문인지 원인때문인지 알 수 없다는 민감한 문제. 그리고 그 기저에 깔린 유전변이의 영향을 곱씹어 봄 -- yong27 2013-09-11 03:18:36

현아가 점퍼루 탈 때 얼마나 좋아했는지 얼굴이 지금도 떠오른다. 전정기관의 자극을 즐기고 있던 것이야. 나는 ShakingSyndrom이 걱정돼서 많이 하지는 않았다는. 지금도 공중에 던져주거나 안았을 때 자꾸 자세를 바꿔주면 좋아함. 그리고보면 처음 고개도 못들던 것에 비하면 대단한 성장 -- yong27 2013-09-13 00:59:44


CategoryBook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