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7526
Comment:
|
← Revision 4 as of 2011-08-03 11:00:38 ⇥
Size: 7556
Comment: converted to 1.6 markup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3: | Line 3: |
[http://bioinfo.sarang.net/wiki/destine/2005-06?action=edit 페이지 고치기] | [[http://bioinfo.sarang.net/wiki/destine/2005-06?action=edit|페이지 고치기]] |
Line 12: | Line 12: |
[http://www.microsoft.com/korea/ 한국마이크로소프트(유)] | [[http://www.microsoft.com/korea/|한국마이크로소프트(유)]] |
Line 28: | Line 28: |
[http://ost25.cafe24.com/moniwiki/wiki.php/%B8%F0%B4%CF%C0%A7%C5%B0%B8%A6cafe24%BF%A1%BC%B3%C4%A1%C7%CF%B1%E2 모니위치 설치관련] | [[http://ost25.cafe24.com/moniwiki/wiki.php/%B8%F0%B4%CF%C0%A7%C5%B0%B8%A6cafe24%BF%A1%BC%B3%C4%A1%C7%CF%B1%E2|모니위치 설치관련]] |
Line 31: | Line 31: |
[http://www.thefreedictionary.com/ The Free Dictionary] | [[http://www.thefreedictionary.com/|The Free Dictionary]] |
Line 34: | Line 34: |
[http://www-personal.umich.edu/~carlsonh/ Carlson Lab] [http://www-personal.umich.edu/~carlsonh/CurrPharmDes.pdf Heather A. Carlson. Protein Flexibility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Structure-Based Drug Discovery.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2002, 8, 1571-1578 (PDF)] [http://www.bentham.org/cpd/index2.html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http://www.ingentaconnect.com/content/ben/cpd/2005/00000011/00000009/art00011 New Methodologies for Ligand-Based Virtual Screening] |
[[http://www-personal.umich.edu/~carlsonh/|Carlson Lab]] [[http://www-personal.umich.edu/~carlsonh/CurrPharmDes.pdf|Heather A. Carlson. Protein Flexibility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Structure-Based Drug Discovery.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2002, 8, 1571-1578 (PDF)]] [[http://www.bentham.org/cpd/index2.html|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http://www.ingentaconnect.com/content/ben/cpd/2005/00000011/00000009/art00011|New Methodologies for Ligand-Based Virtual Screening]] |
Line 41: | Line 41: |
[http://www.rinspace.com/index.php?pl=328 :: 일기 :: 역사는 시험기간에 이루어진다니까] | [[http://www.rinspace.com/index.php?pl=328|:: 일기 :: 역사는 시험기간에 이루어진다니까]] |
Line 47: | Line 47: |
[http://www.ncbi.nlm.nih.gov/entrez/query.fcgi?cmd=Retrieve&db=pubmed&dopt=Abstract&list_uids=15866156&query_hl=1 Identification of genes needed for regeneration, stem cell function, and tissue homeostasis by systematic gene perturbation in planaria] | [[http://www.ncbi.nlm.nih.gov/entrez/query.fcgi?cmd=Retrieve&db=pubmed&dopt=Abstract&list_uids=15866156&query_hl=1|Identification of genes needed for regeneration, stem cell function, and tissue homeostasis by systematic gene perturbation in planaria]] |
Line 54: | Line 54: |
[http://rinspace.com 책장이 멋있는 여자가 되자] | [[http://rinspace.com|책장이 멋있는 여자가 되자]] |
Line 60: | Line 60: |
[http://jeb.biologists.org/cgi/content/abstract/201/18/2625?maxtoshow=&HITS=10&hits=10&RESULTFORMAT=&andorexacttitle=and&titleabstract=Androctonus&andorexacttitleabs=and&andorexactfulltext=and&searchid=1117990180300_681&stored_search=&FIRSTINDEX=0&sortspec=relevance&journalcode=jexbio 전갈이 자신의 독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논문] | [[http://jeb.biologists.org/cgi/content/abstract/201/18/2625?maxtoshow=&HITS=10&hits=10&RESULTFORMAT=&andorexacttitle=and&titleabstract=Androctonus&andorexacttitleabs=and&andorexactfulltext=and&searchid=1117990180300_681&stored_search=&FIRSTINDEX=0&sortspec=relevance&journalcode=jexbio|전갈이 자신의 독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논문]] |
Line 62: | Line 62: |
[http://jeb.biologists.org/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 [[http://jeb.biologists.org/|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
Line 95: | Line 95: |
[http://neosbio.net/xp4bio/FrontPage BioXP] [http://www.microsoft.com/korea/technet/resources/Technetcolumn/column_nto_10.asp 카고 컬트 (Cargo Cult) 와 라이센코주의 (Lysenkoism)] 이 안 되도록 하자. |
[[http://neosbio.net/xp4bio/FrontPage|BioXP]] [[http://www.microsoft.com/korea/technet/resources/Technetcolumn/column_nto_10.asp|카고 컬트 (Cargo Cult) 와 라이센코주의 (Lysenkoism)]] 이 안 되도록 하자. |
MonthCalendar2(destine,2005,6) CategoryWebLogDestine 페이지 고치기
2005-06-22
헉.. 위키 업그레이드 했네요. 노란색 배경도 좋았지만, 이 화면도 시원해 보여서 좋네요.
2005-06-20
영작 final research due
2005-06-16
랩에 XP를 접목 시켜 보기로 했습니다. 다행히 교수님께서 먼저 공부를 많이 하셔서 제가 하고 싶은 얘기보다 더 많은 얘기들을 해 주셨습니다. 덕분에 랩 사람들을 설득해가는 수고를 덜었고, 든든한 후원자가 생긴 기분입니다. 실천 사항으로는 Wiki 이용, 아침미팅, 인덱스 카드 작성, PairProgramming 입니다.
2005-06-15
확통 시험
아.. 기말고사 끝났습니다. 이제부터 연구에 다시 몰입 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스윙도 ㅎㅎ
2005-06-14
과학사 시험 유기화학 시험
2005-06-13
PL 시험 일본어 시험 모니위치 설치관련
2005-06-11
[ghost]님 연구와 관련해서 Carlson Lab Heather A. Carlson. Protein Flexibility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Structure-Based Drug Discovery.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2002, 8, 1571-1578 (PDF)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New Methodologies for Ligand-Based Virtual Screening 작년 한국 바이오인포메틱스 학회에서도 Ligand-Based Virtual Screening 관련 포스터를 본적이 있는 듯 하다.
시험기간에 말리는 현상은 인류 보편적 현상임. :: 일기 :: 역사는 시험기간에 이루어진다니까
드래곤볼의 성공배경과 한계에 대한 글을 보고 싶은데 못 찾겠다. 어떤 경로로 그 글을 봤었지? --;; 아.. 나이가 들었나. [yong27]형이 링크 해놓은 걸 통해서 봤던것 같은데.. 음..
2005-06-10
지도 교수님과의 회식이 힘들어 졌다. 지난 모임때, 다음 부터는 그냥 식사만 할게 아니라 논문이라도 읽어와서 발표하는 자리를 갖자는 교수님의 발언에 다들.. 경악했지만, 어쩔 수 없이 고개를 끄덕이고 말았다. 그리하여 다음 회식을 위해서라도 발표할 주제를 찾다가 정한 플라나리아의 재생 능력에 관련된 논문이다. Identification of genes needed for regeneration, stem cell function, and tissue homeostasis by systematic gene perturbation in planaria But, 이 논문을 바탕으로 진행해 보겠다고 한 메일에 교수님의 답장이 없다.. 설마 그때 하신 말씀이 농담이었던 건가.. --;; 설마.. --;;
2005-06-09
영작 시험
Social Network 이 어케 구성되어 있는 건지 참 궁금해졌다. 책장이 멋있는 여자가 되자
2005-06-08
PL final due
2005-06-05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005-06-04
영작 Final Research Paper 주제로 XP를 선택했다. 제목은 'How to apply XP to Bioinformatics lab' 인데 Collective Authorship을 어떻게 적용해야 될지 감이 오지 않는다. 음.. 사실은 XP라고 할 수 없지만, 여기선 편의상 XP라고 부르기로 한다. --; 어떻게 하면 자신의 아집을 줄이고 공동의 연구를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해봤지만, 그에 대한 답은 안나오고, 왜 그런 생각을 강요하면서 XP를 적용해야 되는데? 라는 반문만 들었다. 결국에 연구를 하는것은 공동의 작업도 들어가긴 하지만 개인적인 일인것 같다. 회사와 같이 팀내에서 생산물을 만들어 내는 작업과는 달리 연구는 아이디어 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그런것일까. 하여간 지금 있는 실험실에 XP에서 사용하는 여러가지 장치나 개념들을 도입해보려고 한다. 그 전에 일단 차이를 비교해 보기 위해서 의식 조사를 해봐야 될텐데 설문 내용에 어떤 것이 들어가야 적절할지 고민이 된다.
. . . . .
어떤 질문을 해야 할 것인가??
카테고리 |
질문 |
응답 방식 |
결과 |
효율성 |
연구실에서 시간을 짜임새 있게 쓴다고 생각하는가? |
아주 그렇다(5) - 전혀 아니다(1) |
3.5 |
. |
하루동안 보는 논문 편수 |
예) 대략 1.5 편 |
1.25 |
. |
동료들과 의사소통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가 |
아주 그렇다(5) - 전혀 아니다(1) |
3.5 |
. |
일의 진척 정도를 잘 인식하고 있는가 |
아주 그렇다(5) - 전혀 아니다(1) |
3.5 |
의사소통 |
동료들과 자신의 연구에 대해 얘기를 자주 나누는 편인가 |
아주 그렇다(5) - 전혀 아니다(1) |
3 |
. |
한번 토론시 걸리는 시간은 어느 정도 인가? |
분을 기준으로 |
45 |
. |
토론시 얻는 내용이 많다고 생각하는가 |
아주 그렇다(5) - 전혀 아니다(1) |
3.5 |
. |
연구를 할때 동료들과 토론이 어느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
많이(5) - 적당히(3) - 조금(1) |
3 |
. |
현재 자신이 속해 있는 실험실 내부에서 토론 활동이 많다고 생각하는가? |
너무많다(10) - 적당하다(5) - 너무적다(1) |
4.5 |
. |
다른 동료가 어떤 내용을 연구하는지 잘 알고 있는가 |
아주 그렇다(5) - 전혀 아니다(1) |
4.5 |
. |
다른 동료가 사용하고 있는 툴이나 데이터를 어떻게 얻는지 알고 있는가? |
아주 그렇다(5) - 전혀 아니다(1) |
4 |
문서화 |
내부 자료들이 잘 문서화 되어 있다고 생각하는가? |
아주 그렇다(5) - 전혀 아니다(1) |
2.5 |
. |
. |
. |
. |
. |
. |
. |
. |
XP 이후 |
XP가 연구활동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 |
아주 그렇다(5) - 전혀 아니다(1) |
. |
. |
XP가 연구활동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는가 |
아주 그렇다(5) - 전혀 아니다(1) |
. |
조사 대상이 너무 적어서 (2명) 거의 의미가 없지만, 결과를 보면 대략 랩 내부에서 토론 활동양이나 질에 대해서는 만족하는 것 같지만, 실험실 내부 자료들이 문서화 되어 있지 않다고 느끼고 있는 것 같습니다.
BioXP 카고 컬트 (Cargo Cult) 와 라이센코주의 (Lysenkoism) 이 안 되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