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Revision 1 as of 2006-08-01 10:41:48
Size: 1735
Comment:
|
Size: 1677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5: | Line 5: |
2006-07-08="이사" 2006-07-12="휴가끝" 2006-07-30="Biohackers 모임" |
2006-08-26="TEST" |
(<-) |
[../2006-07] |
[../2006-09] |
(->) |
2006 / August | ||||||
Sunday | Monday | Tuesday | Wednesday | Thursday | Friday | Saturday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TEST |
||||||
-27- | -28- | -29- | -30- | -31- | ||
2006-08-01
[http://www.biologynews.net/archives/2006/07/31/penn_researchers_find_role_for_micrornas_in_angiogenesis.html penn_researchers_find_role_for_micrornas_in_angiogenesis] -- Biology News Net
: 주로 Biology News Net의 기사를 여기에 적는 것은 매일 어떤 내용들이 올라와 있나 확인하기 때문이고, 또 하나는 다른 사람들의 연구 내용을 읽고, 간략하게 요약을 하므로써 연구에 관한 사고의 폭을 넓히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으려하기 때문입니다.
전체적인 내용은 microRNA가 angiogenesis와 관련이 있다는 것으로, 앞으로 microRNA가 cancer therapy의 target이 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 oncogene으로 알려진 MYC가 Petri dish에서는 inactive하고 animal model에서는 hyperactive해지는 것에 대하여 의문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고, MicroArray method를 이용하여 192개의 pro- or anti-angiogenesis molecule이 있거나 없을때 MYC가 있는 cell과 없는 cell에서의 mRNA을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thrombospondin-1 protein과 연계되어 anti-angiogenesis molecule들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즉, angiogenesis의 속도가 늦춰지는 것을 막는다는 것. MYC가 microRNA의 중요한 regulator로 작용하고 miR-17-92라는 microRNA cluster를 발견하여, MYC와 thrombospondin-1간의 연결고리를 발견하게 되었다.
(<-) |
[../2006-07] |
[../2006-09]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