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1557
Comment:
|
Size: 4106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7: | Line 7: |
== 2007-11-28 == 간단한 [Django]소스수정. 매번 일일이 패치해주기 구찮아서, 커뮤니티에 패치를 올렸다. 으흐.. [http://code.djangoproject.com/ticket/6043 #6043] It's my first django ticket. ---- == 2007-11-27 == [http://skyul.tistory.com/137 듀얼모니터와 생산성] 거봐... 그래서, 내가 모니터큰거 추가로 사야한다고 얘기했음. ---- 에러메세지를 보며 아무것도 못하고 있다. 벌써 한 3시간은 지났는가보다. 어디를 고쳐줘야할까 를 고민하기전에 좀 더 근본적인 깔끔한 방법이 어딘가 있을 듯하여 고치지도 못하고 있다. 고치자니, 편법에 꽁수가 들어갈꺼고... 어떻게 찾는 방법이 없을까...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ec&sid1=103&sid2=240&oid=036&aid=0000016301&iid= 서울의 출근길 풍경]. 그나마 난 저 혼잡대열에서 빗겨가 있군. 상대적으로 내가 있는 곳은 사람들이 그리 많지 않은 곳이다. 집이나 회사나... ---- == 2007-11-23 == [http://www.zdnet.co.kr/itbiz/column/anchor/iwillbe/0,39033556,39163389,00.htm 관료주의 심화시키는 IT기술의 발달] : LowAutomatismAndHighFlexibility 를 생각나게 한다. 고자동 저유연은 관료주의심화 경향이 있다. 저자동 고유연은 창조적인 사고를 촉진시킨다. ---- == 2007-11-22 == [Django], [Python]을 어떻게 하면, 활발하게 할까를 생각해보다가... Wiki를 만들면 어떨까 생각에 이르렀다. 사실 다양한 위키엔진들이 있긴 하지만, 입맛에 맞는 OpenSource는 그리 많지 않은 현실이다. MoinMoin은 물론 다양한 기능들로 충분히 좋긴 하지만, 불편한 에디터 및 타 시스템과의 확장이 어려운 점등이 자꾸 마음에 걸린다. SpringNote는 훌륭한 에디터 [Xquared]와 함께 좋은 서비스이긴 하지만, 소스가 공개된 것이 아니다. [Django]로 wiki를 만들고, 공개한 뒤에, 일반 사용자는 INSTALLED_APP 에 djwiki 를 적어주기만 하면, 바로 위키시스템을 확장하여 쓰게 하면, 매우 유용할 듯 하다. 으흐... 추진하고 싶다. ---- == 2007-11-14 == [http://blog.naver.com/soi282/80038589504 남자에게 고백하는 법] ^^ ---- == 2007-11-12 == VectorMagic 서비스. ---- [http://goodhyun.com/archives/2007/11/720.php 영업의 도] 공감... ---- |
|
Line 8: | Line 43: |
우리 조카~ | 세상에 나온지 2개월반정도 된 조카가 집에 왔다. 아무리봐도 질리지 않는 조카의 모습. |
(<-) |
[../2007-10] |
[../2007-12] |
(->) |
2007 / November | ||||||
Sunday | Monday | Tuesday | Wednesday | Thursday | Friday | Saturday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Presentation |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2007-11-28
간단한 [Django]소스수정. 매번 일일이 패치해주기 구찮아서, 커뮤니티에 패치를 올렸다. 으흐.. [http://code.djangoproject.com/ticket/6043 #6043] It's my first django ticket.
2007-11-27
[http://skyul.tistory.com/137 듀얼모니터와 생산성] 거봐... 그래서, 내가 모니터큰거 추가로 사야한다고 얘기했음.
에러메세지를 보며 아무것도 못하고 있다. 벌써 한 3시간은 지났는가보다. 어디를 고쳐줘야할까 를 고민하기전에 좀 더 근본적인 깔끔한 방법이 어딘가 있을 듯하여 고치지도 못하고 있다. 고치자니, 편법에 꽁수가 들어갈꺼고... 어떻게 찾는 방법이 없을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ec&sid1=103&sid2=240&oid=036&aid=0000016301&iid= 서울의 출근길 풍경]. 그나마 난 저 혼잡대열에서 빗겨가 있군. 상대적으로 내가 있는 곳은 사람들이 그리 많지 않은 곳이다. 집이나 회사나...
2007-11-23
[http://www.zdnet.co.kr/itbiz/column/anchor/iwillbe/0,39033556,39163389,00.htm 관료주의 심화시키는 IT기술의 발달] : LowAutomatismAndHighFlexibility 를 생각나게 한다. 고자동 저유연은 관료주의심화 경향이 있다. 저자동 고유연은 창조적인 사고를 촉진시킨다.
2007-11-22
[Django], [Python]을 어떻게 하면, 활발하게 할까를 생각해보다가... Wiki를 만들면 어떨까 생각에 이르렀다. 사실 다양한 위키엔진들이 있긴 하지만, 입맛에 맞는 OpenSource는 그리 많지 않은 현실이다. MoinMoin은 물론 다양한 기능들로 충분히 좋긴 하지만, 불편한 에디터 및 타 시스템과의 확장이 어려운 점등이 자꾸 마음에 걸린다. SpringNote는 훌륭한 에디터 [Xquared]와 함께 좋은 서비스이긴 하지만, 소스가 공개된 것이 아니다.
[Django]로 wiki를 만들고, 공개한 뒤에, 일반 사용자는 INSTALLED_APP 에 djwiki 를 적어주기만 하면, 바로 위키시스템을 확장하여 쓰게 하면, 매우 유용할 듯 하다. 으흐... 추진하고 싶다.
2007-11-14
[http://blog.naver.com/soi282/80038589504 남자에게 고백하는 법]
2007-11-12
VectorMagic 서비스.
[http://goodhyun.com/archives/2007/11/720.php 영업의 도] 공감...
2007-11-04
세상에 나온지 2개월반정도 된 조카가 집에 왔다. 아무리봐도 질리지 않는 조카의 모습.
2007-11-02
[http://yong27.biohackers.net/288 Django로 개발하고 있는 용역과제]의 감리가 진행중이다. 오늘 나를 꽤 우울하게 만든 인터뷰 질문 몇가지.
- 왜 [Python]으로 개발하십니까? 정부 용역에 [Python]을 사용하는 업체는 많지 않던데, 혹시, 차년도 사업 때, 회사에 유리한 언어를 쓰고자 함이 아닙니까? 유지보수 및 차년도 사업확장 때, 이 업체가 아니면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ython]을 쓰는 합리적인 근거가 필요합니다.
- 웹 응답시간이 5초가 넘습니다. 왜 그렇습니까?
- User 테이블이 2개로 분리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 소스코드에 주석이 얼마 없던데, 왜 그렇습니까?
그간 나의 IT 개발에 대한 가치관이 꽤나 순진했던 것 같다. 그나저나 웹 응답시간, 내 PC에서는 모두 1초가 넘어가지 않던데...
(<-) |
[../2007-10] |
[../2007-1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