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quiredImmuneDeficiencySyndrome
HIV에 의해 신체가 가지고 있는 면역기능이 약해지는 질병. HIV에 의해서 생기는 질병이라고 알려져 있음. 그러나 일부의 사람들은 HIV에 의해서 생기는 병이 아니라는 주장을 한다.
관련포스트
관련최신소식
HIV 바이러스에 대적할 수 있는 인간의 유전자
- 정보출처 BBC News
- 출판날짜 2002년 07월 14일
- 주제분야 미생물학, 바이러스학(F13)
과학자들은 '인간이 HIV 감염에 대항하여 싸울 수 있는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번 발견으로 과학자들은 현재의 약품들로는 치료 효과가 없는 HIV 와 에이즈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제시되길 바라고 있다. 연구자들은 HIV 바이러스가 Vif라는 단백질을 생성하여 CEM15라고 일컬어지는 유전자의 정상적인 기능을 간섭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연구자들은 이 Vif 단백질이 HIV 바이러스에서 제거되면 CEM15 유전자가 HIV 바이러스가 복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도 발견했다. 이 연구는 영국의 런던에 위치한 King’s 대학의 Michael Malim 교수와 미국의 팬실베니아 의과대학의 연구팀에 의하여 수행되었는데, 이 연구자들은 Vif 단백질이 HIV 바이러스를 복제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지만 최근에 와서야 이러한 과정들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Malim 교수는 “이번의 연구 성과는 매우 중요한 발견들이며 앞으로 HIV, 에이즈 치료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만약에 Vif의 활동을 억제할 수 있 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면, 그것은 CEM15 유전자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며 HIV 확산도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라고 하였다.
HIV 같은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를 감염시키면, 바이러스는 세포의 생화학 기능을 관장하여 새로운 바이러스들을 생산하는 기지로 만들어 버린다. 새로이 생성된 바이러스들은 세포들을 감염 시키며 죽이기도 하는 과정이 반복된다. 앞으로의 연구는 Vif 단백질의 활동을 억제하는 물질이 무엇인가를 밝혀내는데 초점이 맞추어질 것이다. 현재의 HIV 치료법은 이 바이러스의 생명 주기에서 존재하는 단계별 공격을 목표로 하는 약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약들은 이 바이러스를 소멸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절반 가량의 HIV 환자들은 약들에 대한 내성을 가지게 되었다. Malim 교수는 이번 연구의 결과들을 활용하여 앞으로 10년 내에 새로운 치료법이 나오기를 바라고 있다. HIV 자선단체의 Mark Grave는 BBC News에서 말하기를 “이번 연구는 HIV에 감염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 중대한 업적이 될 수 있다. 현재 HIV를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부 또는 전체의 약들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HIV 감염 환자는 증가하고 있다. 바이러스 보다 한 걸음 앞선 치료법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Nature] 잡지에 온라인 형태로 출판중이다.
모유의 면역세포가 HIV로부터 유아를 보호한다
- 출판날짜 2002년 07월 12일
- 주제분야 미생물학, 바이러스학(F13)
과학자들은 엄마의 모유에 있는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에 감염된 면역 세포가 바이러스를 죽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발견은 모유가 HIV로 심하게 오염된 경우에도 모자간의 직접 수유(모유 수유)를 통한 바이러스 감염률이 적은 이유를 설명해줄 수 있었다. Alabama대학교, Boston 대학교, Columbia대학교의 연구진들은 미국과 아프리카에서 HIV에 감염된 여성에게서 추출된 breast milk cell(BMC)가 이 바이러스의 성분에 반응하고 이를 확인하는 능력을 테스트했다. HIV에 감염된 모든 여성에게서 추출된 BMC는 HIV 단백질에 대해 반응하는 반면에, 감염되지 않은 여성에게서 추출된 BMC는 이 단백질에 반응하지 않았다. 이 실험 결과, 이러한 반응은 혈액내에서 HIV의 수준을 조절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면역 세포인 'CD8+'로 명명되는 면역 세포 때문이라는 것도 밝혀졌다. 이 연구는 모계쪽에서 유래된 T세포가 유아의 혈액 순환계내에 전달되고 모계 T세포의 전이를 통해서 유아가 잠재적으로 보호된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더불어 이들 세포를 보호하는 것은 신생아를 보호할 수도 있다.즉 우리는 모유? 【??바이러스 부하량을 국부적으로 감소시켜서, 바이러스의 부담량을 낮출수 있고,결과적으로 HIV에 감염된 어머니에게서 태어나는 아기가 HIV에 새로이 감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연구진은 주장했다. 이 연구 결과는 ‘Human immunodeficiency virus-specific CD8+ T cells in human breast milk’의 제목으로 Journal of Virology, 76: 7365-7373에 보고되었다
RNA를 이용한 HIV 감염 차단법 발견
정보출처 http://www.bio.com/newsfeatures/newsfeatures_research.jhtml?action=view&contentItem=73220825&Page=1
- 출판날짜 2002년 07월 02일
- 주제분야 유전공학(F19)
siRNA(short interfering RNA)라 불리는 유전자 조각을 이용해 에이즈의 원인 병원체인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가 복제하는 과정을 저해할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영국의 저명한 학술지 "네이쳐 의학(Nature Medicine)", 7월호에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미국 토마스제퍼슨대학(Thomas Jefferson Univ.)의 과학자들이 수행했다. 유전자 연구에 널리 활용되는 초파리(fruit fly)와 효모(yeast), 선충(nematode) 등을 대상으로 한 일련의 연구를 통해 밝혀진 유전자 조절 기작 가운데 'RNA 간섭(RNA interference)'이라는 것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 HIV 감염을 저해하기 위해 siRNA를 이용한 방법도 바로 'RNA 간섭 기작'이다. 이 기작은 지난 1998년에 처음으로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 대사 과정을 질병 치료에 응용하려는 연구도 현재 초기 단계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 방법을 이용해 HIV를 저해할 때 얻어지는 가장 중요한 장점은 에이즈 바이러스를 특이적으로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연구진은 밝혔다. 앞서 밝혔듯이 RNA 간섭을 이용해 HIV의 복제를 특이적으로 저해할 수 있다는 선행 연구 결과들은 ? 汰?예걋?아닌 곤충과 미생물, 선충으로부터 확인된 내용들이다. 최근에는 포유동물의 세포에서도 이 기작이 작동한다는 연구 보고서가 발표되기도 했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학자들도 현재 쥐의 세포를 대상으로 해당 기작의 작동 여부를 확인중이며, 곧 이어 인체 세포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뒤를 이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RNA 간섭 기작은 일종의 유전자 침묵(gene silencing)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유전자 침묵 현상 자체는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이미 수십 년 전부터 생물체가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전자가 복제되는 과정에서도 유전자 침묵 현상이 동반된다는 사실은 최근에야 규명된 내용이다. 이번 연구가 밝혀낸 사실도 유전자가 복제되는 과정에서 유전자의 특정 RNA 단백질 산물을 분해시키는 방식으로 유전자 복제를 특이적으로 저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내용이다. 유전자의 침묵을 유도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가운데 선충과 초파리, 효모, 일부 식물들은 이중 나선 RNA(double-stranded RNA ; dsRNA)를 이용해 유전자 침묵을 유도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번 ? П맙【?RNA 간섭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한 siRNA도 바로 효소를 이용해 dsRNA를 절단해서 얻어진 것이다. 얻어진 siRNA를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RNA에 부착시키면 표적으로 삼은 RNA의 기능을 무력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같은 일련의 연구 성과들을 근거로 볼 때, 이번 연구는 siRNA가 HIV를 저해하는 기작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siRNA가 HIV의 감염을 저해하는 기작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방법은 HIV가 세포를 감염시키는 과정에서 이용하는 세포의 유전자를 저해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HIV 자체 유전자의 침묵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 성과는 새로운 개념의 HIV 저해 기술을 개발했다는 의미 외에도 RNA 간섭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 또 다른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RNA 간섭에 대한 과학적이고 구체적인 증거가 얻어진 것이다. 그리고 초파리나 효모, 선충 외에 HIV에 대해서도 RNA 간섭이 적용된다는 사실도 확인된 셈이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학자들은 향후 후속 연구의 일환으로 RNA 간섭이 좀 더 확실한 작동 기작과 이 기작이 어느 정도까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는가를 규명할 필 요가 있다고 밝혔다. 세포 사이의 RNA 간섭 과정이 확산될 수 있는지, HIV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는지, 또 다른 RNA 바이러스 병원체를 저해하는데도 RNA 간섭 기작을 활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해답이 구해져야만 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암 유발 유전자를 무력화시키는데도 RNA 간섭 기작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성과를 기초로 삼아 후속 연구를 통해 위의 질문들에 대한 해답이 얻어지게 되면 새로운 개념의 다양한 치료제들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더구나 RNA 간섭에 대한 연구가 아직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이로부터 얻어질 성과에 대한 기대도 더욱 크다.
Related Site
http://aids.or.kr/index.htm 한국 AIDS 예방 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