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집단최적화. SelfOrganizing의 한가지 응용분야

개미한마리는 멍청하지만, 개미무리는 똑똑하다. 그 한가지 예인 식량원 찾기 문제를 보면,

새로운 식량원에 이르는 길을 탐사하는 일꾼개미가 오른쪽길 왼쪽길로 나뉘어진 곳에서 무작위로 왼쪽을 선택한다. 왼쪽은 오른쪽보다 훨씬 긴 경로. 두번째개미는 무작위로 오른쪽을 선택했고, 훨씬 짧은 경로로 되돌아올 수 있었다. 지나온 길에 페로몬이 묻어있고, 페로몬이 많은 쪽을 다른 개미들이 더 잘 가게 된다면, PositiveFeedback에 의해 결국은 최단경로를 찾게된다.

이는 TSP등의 문제해결에도 응용될 수 있다. 각 agent(개미)들을 풀어놓고, 보다 더 짧은 경로를 찾는다. 이는 통신망 경로의 적응적 선택, 자동 차량 제어, 스케줄링, 학습, 기능 최적화, 전자회로 설계등 많은 분야에 이용된다.

참고

AntColonyOptimization (last edited 2013-03-25 12:42:12 by 61)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