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기계. ComputerScience의 연구분야가운데 한가지. automaton의 복수형.
로봇 또는 자동기계라고도 한다. 어원은 자동기계라는 뜻의 그리스어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에 의하여 동작하는 자동인형이나 동물, 나아가서 자동장치를 말하며, 수학적으로 추상화된 개념으로 쓰일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자동기계를 기능적인 견지에서 모델화하여, 외부로부터의 자극(입력신호)에 대응하여 내부의 상태가 변화하고, 그리고 신호 또는 동작의 형태로 외부에 출력하는 것으로 보고, 이것을 오토마톤이라 한다.
오토마타 (automaton) 란 디지털 컴퓨터에 대한 추상적 모델이며, 모든 오토마타들은 몇 가지 필수적인 기능들을 갖는다. 우선 오토마타는 입력을 받아들이는 장치를 갖는다. 입력은 주어진 알파벳에 대한 문자열이고 입력 파일 (input file) 에 저장되며, 오토마타는 이를 읽을 수는 있지만 변경할 수는 없다. 입력 파일은 셀 단위로 구분되며, 각 셀은 하나의 심볼을 저장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EOF 조건을 검사함으로써) 입력 문자열의 마지막을 감지할 수 있다. 오토마타는 어떤 형태로든 출력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오토마타는 임시 기억장소 (storage)를 가질 수 있다. 이 기억장소는 무한 개의 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셀은 주어진 알파벳(이는 반드시 입력 알파벳과 같을 필요는 없다) 내의 한 심볼을 저장할 수 있다. 오토마타는 제어 장치 (control unit) 를 가진다. 이 제어 장치는 유한 개의 내부 상태 (internal state) 들 중 한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태를 바꿀 수 있다. (PeterLinz 2001)
오토마타이론 : 대상의 어떤 기능에 주목하여, 입력과 내부 출력 각 신호의 상호관계를 수학모델로 옮기고, 이 모델을 수학적으로 고찰 ·결론을 유도한다. 그리고 이 유도된 결론을 다시 원래의 대상에 꼭 들어맞춰서 해석한다고 하는 일련의 과정의 일부 또는 전부
다음의 세부분야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