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l duplication mechanism.


예전 부터 가져왔던 궁금중 : CellDuplication과정중엔 DNA가 Compact한 형태로 존재할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Transcription과정이 안 일어날 것이고, 따라서 이 과정중에 작용하는 효소들은 미리 만들어진 존재일것이다. 그럼 CellDuplication에 관여되는 효소들을 모두 뽑아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는지가 궁금하였다. ( 임의로 CellDuplication과정을 일으킬 수 있게.. )


관련 최신 소식

일본 국립유전자연구소, DNA복제 개시 메커니즘 규명

  • 정보출처 닛케이산업신문
  • 출판날짜 2002년 01월 24일
  • 주제분야 유전공학(F19)

일본 국립유전자연구소 아라키 교수는 세포가 분열, 확산되는데 있어 필수적인 DNA 복제의 시작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어떤 효소의 작용에 의해서 두 종류의 단백질이 복합체가 됨으로써, 복제가 시작되는 것을 출아 효모를 사용해서 밝혀냈다. 사람에서도 같은 과정이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번 발견이 세포의 이상증식이 일어나는 암 치료에 도움을 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진흥사업단의 젊은 연구자 개인연구 추진사업의 한 성과로서, 24일 네이처지 인터넷 판에 공개된다. 세포는 DNA를 복제해서 두 개로 분열하는 일을 반복한다. 복제는 S기로 불리우는 DNA 합성기에 일어난다. 복제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DNA의 어떤 부분에 DNA 합성효소가 결합할 필요가 있으며, 'Dpb11'이라는 단백질이 이 결합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제(Cdk)라는 효소가 별도의 단백질인 S1d2를 인산화하고, 그 결과 Dpb11과 S1d2가 복합체를 만드다는 것을 규명했다. Dpb11은 복합체가 되면 기능을 발휘한다고 한다. 이들은 'S1d2'의 인산화되기 쉬운 ! 부분을 유전자 조작으로 인산화하지 않도록 바꾸어 Cdk 등의 역할을 조사했다. 사람과 쥐 등 고등동물에서는 S1d2과 같은 작용을 하는 단백질이 아직 발견되지 않았지만, 아라키 교수는 “DNA의 복제 메커니즘은 공통”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CellDuplicationMechanism (last edited 2013-07-02 10:26:51 by 61)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