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zymeCodeNumber. Protein, Enzyme의 기능별 분류체계. Ip Address 처럼 4개의 숫자를 '.'로 연결한다.
국제생화학연합 효소위원회에서는 1978년에 2,132 종류의 효소에 대하여 새로운 효소번호(EnzymeCodeNumber)에 의한 분류법을 제정하였다. 이 분류법은 효소번호, 권장명, 계통명 순으로 쓰며 alcohol dehydrogenase의 경우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효소번호 |
권장명 |
계통명 |
EC 1.1.1.1 |
alcohol dehydrogenase |
alcohol: NAD+ oxidoreductase |
여기서 첫번째 숫자는 효소가 촉매하는 화학반응의 형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6군으로 분류된다.
EcNumber |
Enzyme |
. |
EC 1군 |
Oxidoreductase |
산화환원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
EC 2군 |
Transferase |
작용기의 전이를 촉매하는 효소 |
EC 3군 |
Hydrolase |
가수분해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
EC 4군 |
Lyase |
이탈반응과 부가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
EC 5군 |
Isomerase |
이성화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
EC 6군 |
Ligase |
ATP 등의 가수분해와 공역하여 2개의 저분자를 연결하는 합성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
2, 3번째 숫자는 반응을 더욱 세분화하여 기질의 형식이나 종류에 의해 분류되고 4번째 숫자는 각 효소에 대해 효소위원회가 부여한 일련번호이다.
관련정보
InterWikiForBioinfo에서 EcNumber로 KEGG접속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