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짜기능. 시스템 디자인시에 전혀 예상하거나 의도하지 않았지만 실제 구현된 시스템에서 창발적으로 발현되는 기능들. 종종 우리가 불편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이 때론 긍정적 역할을 하는, 소위 MeritCameFromDemerit도 포함된다.

LowAutomatismAndHighFlexibility

WikiWiki 자체가 제공하는 자동성은 상대적으로 다른 시스템에 비해 무척 낮은 편이다. 하지만 이것이 오히려, 위키를 사용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그 자동성의 결여를 보충하게끔 스스로를 똑똑해지게 만드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것은 위키위키의 유연함과 유동성, 자유로움에서 오는 것이다. 놀이로 치자면 바둑과 비슷하다. 기본 법칙은 매우 간소하고, 단순하다. 하지만 그 법칙의 응용에서 나오는 변화는 무궁무진하다. 돌의 포석이 매우 자유롭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자유로운 조건 하에서도(누구나 처음부터 천원 -- 바둑판 한 가운데 -- 에 돌을 놓을 수 있다) 암묵적인 합의와 패턴이 창발한다. 사람이 똑똑해지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AI(인공지능 -- ArtificialIntelligence)의 전설적 인물 MarvinMinsky와 마우스나 하이퍼텍스트(HTML의 링크 같은 것들의 조상)를 최초로 고안한 더글라스 엥겔바르트의 대화가 유명하다:

    MM: (흥분으로 얼굴이 상기된 채)이봐 더그, 이거 봐! 내가 만든 기계야. 정말 똑똑하지 않은가? DE: (마지못해 쳐다보며)그래. 하지만 나는 기계보다 사람을 똑똑하게 만드는데에 더 관심이 있다네.

느슨한 상호편집시스템의 효과

WikiWiki의 글쓰기/편집 시스템: 같은 제목의 페이지가 여러 사람들의 다른 이름으로 연이어 편집되는 시스템이자 같은 제목의 페이지가 여러 사람의 손에 의해 완성되는 느슨한 상호편집시스템. RecentChanges에서 한 눈에 보여지는, 씨줄과 날줄이 엮이듯이 교차되는 순간순간의 섞임과 그에 의한 변화들, 여러 사람들의 이름의 역동적인 교체들, 내용의 융합적 진화들을 경험할 때마다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이나 일종의 밀착된 스킨쉽이 줄 수 있을 만한 굉장한 친근감, 애착감과 같은 강한 감정적 집착이 생겨나는 경향이 있다.


CategoryWikiWiki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