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2 and 6 (spanning 4 versions)
Revision 2 as of 2005-12-11 17:29:09
Size: 2255
Editor: 221
Comment:
Revision 6 as of 2012-01-17 13:46:33
Size: 467
Editor: 211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1: Line 1:
GnuIsNotUnix. [GNU]는 [Unix]가 아니다. GnuIsNotUnix. [[GNU]][[Unix]]가 아니다.
Line 5: Line 5:
GNU의 말뜻이 [Recursion]을 따르는게 재밌다. OpenSource project 의 철학 GNU의 말뜻이 [[Recursion]]을 따르는게 재밌다. OpenSource project 의 철학
Line 7: Line 7:
[GNU]가 Free를 뜻하지 않는다. 상업용 프로그램만들려면, 오히려 더욱 제한이 많을 수도 있다. [[GNU]]가 Free를 뜻하지 않는다. 상업용 프로그램만들려면, 오히려 더욱 제한이 많을 수도 있다.
Line 9: Line 9:
[GNU]의 대표적 인물 [[GNU]]의 대표적 인물
Line 13: Line 13:
[GNU]라이센스들
 * [GPL]
 * [LGPL]
 * [FDL]

----
[GNU] GPL에 관한 궁금함. AnswerMe. 질문을 요약하면,
{{|
GPL을 따르는 모듈(라이브러리) A를 내부적으로 일부분 사용한 새로운 소프트웨어 B를 상업적으로 판매하고자 할때, B의 소스코드를 공개하여야 하는가?
|}}
소스를 공개하면 상업적 이익이 줄어들 수 있다. 바이너리배포와는 다르게, B의 무분별한 복사를 막을 길이 없기 때문이다. 만일 B가 실행되려면 key가 필요하다라고 막는다 하더라도, 그건 GPL취지와 맞지 않기 때문에, 일단은 full 로 공개를 해야만 한다는 얘기인데, 그럼에도 공개를 해야하는건지, 아님 모듈A를 썼다는걸 숨겨야하는건지... 보통의 사례들은 어떻게 되는지... 많이 궁금하지만, 잘 모른다. 찾아봐도,,, 괜찮은 답변이 없더라. 일단은... '''구매자가 요구하면 소스코드를 제공한다 정도''' 선에서 일단락될수 있는가?

참고연결
 * [http://www.gnu.org/licenses/gpl-faq.ko.html GNU관련 FAQ]
 * [http://bbs.kldp.org/viewtopic.php?t=37237&highlight=GPL GPL관련 KLDP 질답]
 * [http://bbs.kldp.org/viewtopic.php?t=39231&highlight=GPL 라이센스 변경관련 KLDP 질답] : 라이센스변경이 가능하다고?

저 세번째 링크를 따라가보면
{{|
A 라는 사람이 AA 라는 프로그램을 GPL로 공개한다.
B 라는 사람이 AA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아주 눈꼽만큼 수정하여 BB라는 프로그램을 만든다.(라이센스는 GPL)
얼마후 B는 BB를 아주 조금 수정하여 버전을 올린뒤 라이센스를 자기 편한대로 바꾼다.
|}}
이게 가능하단건지, 아닌지 불분명하다. 만일 이게 가능하다면, 맨 윗질문처럼 소스공개의 필요가 없다.


[[GNU]]라이센스들
 * [[GPL]]
 * [[AGPL]]
 * [[LGPL]]
 * [[FDL]]

GnuIsNotUnix. GNUUnix가 아니다.

http://www.gnu.org/

GNU의 말뜻이 Recursion을 따르는게 재밌다. OpenSource project 의 철학

GNU가 Free를 뜻하지 않는다. 상업용 프로그램만들려면, 오히려 더욱 제한이 많을 수도 있다.

GNU의 대표적 인물

GNU라이센스들


CategorySiteOrganization

GNU (last edited 2012-01-17 13:46:33 by 211)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