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wellWright는 근교교배에 의해 homozygotes가 증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 F(inbreeding coefficient, 근교계수)를 정의했다.
He는 Expected heterozygote를 Ho는 obscu 의미한다. 양의 F는 heterozygote의 증가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n = 아비에서 공통선조까지의 세대수
n` = 어미에서 공통선조까지의 세대수
FA = 공통선조의 근교계수
SewellWright는 근교교배에 의해 homozygotes가 증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 F(inbreeding coefficient, 근교계수)를 정의했다.
He는 Expected heterozygote를 Ho는 obscu 의미한다. 양의 F는 heterozygote의 증가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n = 아비에서 공통선조까지의 세대수
n` = 어미에서 공통선조까지의 세대수
FA = 공통선조의 근교계수
InbreedingCoefficient (last edited 2011-08-03 11:01:11 by localh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