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의 반응을 촉매하는 Enzyme

LacticAcid + NAD+ --> PyruvicAcid + H+ + NADH

몸 안의 당이 분해되어 에너지로 변할 때 작용하는 효소의 하나로 여러 조직 세포 중에 함유되어 있어 Cell이 파괴되면 혈중 LDH는 높아지게된다. 혈중 LDH는 악성종양, 간질환, 심장질환, 신장질환, 혈액질환 등에서 고활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이들 질환을 스크리닝 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혈중 LDH검사

원리 : Kinetic UV method (LDH, L → P) 조효소 NADH를 사용하여 파장 340nm에서 흡광도의 증가를 측정하는 방법

정상범위 : 100 - 200 U/L (Linearity : 0 - 750 U/L)

증가할때의 결과해석

  • Myocardial infarction - Chest pain이 있은 후 8-12시간에 증가하기 시작해서 24-48시간에 최고치에 달하며 7일이상 고치가 지속된다.
  • Myocarditis, cardiac failure with hepatic congestion
  • Megaloblastic anemias - Bone marrow에서 erythrocyte precursor cell의 파괴로 LD-1, LD-2가 다량 유리되어 참고치의 50배까지도 증가될 수 있으나 적절한 처치 후에는 빠르게 정상으로 돌아온다.
  • Liver disease(toxic hepatitis with jaundice) - 약 10배정도 증가
  • Primary liver disease, liver anoxia - LD-5의 현저한 증가가 있다.
  • Renal disease (tubular necrosis, pyelonephritis)
  • Pulmonary embolism- embolus(색전)가 형성된 다음에 platelets의 대량 파괴로 LD-3가 증가한다.
  • 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


CategoryProtein

LactateDehydrogenase (last edited 2011-11-17 08:15:42 by 211)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