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4 and 5
Revision 4 as of 2011-08-03 11:00:55
Size: 918
Editor: localhost
Comment: converted to 1.6 markup
Revision 5 as of 2013-07-23 19:44:30
Size: 920
Editor: 61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6: Line 6:
ProteinStructure를 기술하는 에너지 함수를 구했다 해도 이로부터 생길수 있는 구조의 수는 천문학적인 숫자이다. 따라서 이들 중에서 최적의 해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은 우주의 나이만큼 걸린다. 따라서 [Protein]이 가질 수 있는 모든 모양을 일일히 세 그중에서 GibbsFreeEnergy가 가장 낮은 구조를 찾는 방법으로는 실제 생체안에서나 시험관 안에서 수초내지 수분만에 이루어지는 ProteinFolding을 설명할 수 없다. ProteinStructure를 기술하는 에너지 함수를 구했다 해도 이로부터 생길수 있는 구조의 수는 천문학적인 숫자이다. 따라서 이들 중에서 최적의 해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은 우주의 나이만큼 걸린다. 따라서 [[Protein]]이 가질 수 있는 모든 모양을 일일히 세 그중에서 GibbsFreeEnergy가 가장 낮은 구조를 찾는 방법으로는 실제 생체안에서나 시험관 안에서 수초내지 수분만에 이루어지는 ProteinFolding을 설명할 수 없다.

ProteinStructure 예측문제의 어려움을 설명. 미 컬럼비아대 사이러스 레빈탈교수의 이름을 따 붙혀졌다.

http://brian.ch.cam.ac.uk/~mark/levinthal/levinthal.html http://konf2.ims.ac.jp/review/sec4.html

ProteinStructure를 기술하는 에너지 함수를 구했다 해도 이로부터 생길수 있는 구조의 수는 천문학적인 숫자이다. 따라서 이들 중에서 최적의 해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은 우주의 나이만큼 걸린다. 따라서 Protein이 가질 수 있는 모든 모양을 일일히 세 그중에서 GibbsFreeEnergy가 가장 낮은 구조를 찾는 방법으로는 실제 생체안에서나 시험관 안에서 수초내지 수분만에 이루어지는 ProteinFolding을 설명할 수 없다.

관련기사

LevintalParadox (last edited 2013-07-23 19:44:30 by 61)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