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의 합성
컴퓨터 바이러스와 같은 수준으로 사람들이 쉽게 바이러스를 만들수 있게 되는 날이 오기 전에 바이러스를 디텍션해 내고 그에 대한 치료제를 빨리 만들어 낼 수 있는 기술을 발전시켜야 될 것이다.
최근소식
인공적으로 합성된 최초의 바이러스
- 정보출처 BBC News
- 출판날짜 2002년 07월 11일
- 주제분야 미생물학, 바이러스학(F13)
과학자들이 최초로 바이러스를 인공적으로 합성하였다. 미국의 연구진은 소아마비 유전자 조합을 이용하여 전염성 인자를 가진 바이러스를 합성하였다. 이 합성된 바이러스가 살아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과학자들 간에 의견이 분분하다. 이 바이러스가 살아있다고 믿는 과학자들은 이 바이러스가 간단한 생명체의 모양을 구성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가 생물학적 테러리스트들이 인간에 치명적인 바이러스를 개발하는데 촉진제가 될 것이라는 비판이 일자, 이 실험에 참가하였던 과학자들은 소수의 사람들만이 이러한 바이러스를 합성하는 법을 알고 있다고 하였다. 바이러스를 합성하기 위하여 과학자들은 인터넷에서 알아낸 제조 비법과 우편물 주문을 통하여 얻은 유전자 조합을 사용하였다. 미국 스토니부룩 도시에 위치한 뉴욕 주립대학의 연구자들이 이 바이러스를 합성하였는데 자연에서 존재하는 동종의 바이러스와 동일하게 보였다. 연구진들은 인공적으로 합성한 바이러스가 살아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쥐들에게 이 바이러스를 주입하였다. 이 결과 모든 쥐들이 마비 증세를 보였고 곧 죽었다. Scien ce 잡지에 논문을 기고한 저자 중의 한 사람이며 이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Eckard Wimmer 박사는 “우리가 이러한 실험을 한 이유는 인공적으로 바이러스를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실제로 그렇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이번 연구에 대하여 많은 토의가 있었으나 사람들은 사안의 심각성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이 연구 결과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생화학의 발전은 인간에게 여러 가지 혜택도 가져 왔으나 부작용도 가져왔다. 과학의 진보에는 늘 위험이 수반한다. 이번 연구가 제시하는 위험은 엄연히 새로이 존재하는 현실이다”라고 하였다. 실험실에서 바이러스 중에서 가장 간단한 구조를 가졌다고 알려진 소아마비 바이러스를 합성 하였던 Jeronimo Cello는 “이 소아마비 바이러스를 인공적으로 합성하는 것은 매우 쉽다” 라고 했다. 그는 또한 천연두 바이러스의 구조는 복잡하여 합성하기가 어렵지만 이 바이러스도 장차 합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하였다. Wimmer 박사는 “전 세계는 이와 같은 현실에 대처해야 한다”고 하였다. 천연두는 현재 지구상에서는 자취를 감췄지만 미국과 소련에서 표본으로 간직하고 있다. Wimmer ? 迷榮?소아마비 바이러스를 합성 과정을 통하여, 지구상에서 바이러스를 완전히 퇴치하여도 생화학자들이 나중에 이 바이러스를 마치 설계 도면을 이용하여 쉽게 재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를 지구상에서 영원히 사라지게 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하였다. 작년의 미국에 대한 테러 공격과 우편물에 의한 탄저균 공격이 있은 후, 미국 정부 관리들은 천연두의 위험에 대하여 우려를 표명하였으며, 미국 국민을 보호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백신 제조를 지시하였다. 미국 갤브스톤 시에 위치한 텍사스 의학 센터의 생화학 방어 센터 소장인 CJ Peters 박사는, 생화학 전문가들은 실험실에서 바이러스를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여러 해 동안 알고 있었다고 하였다. Peters 박사는 “우리는 바이러스가 인공적으로 합성될 수 있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만드는 것은 오로지 시간적 문제라고 여겨왔다”고 하였다. 그는 인공적으로 바이러스를 합성한 사실 때문에, 일반 대중들로 하여금 생화학 테러에 아무것도 대처할 수 없다고 (사실 대처할 방법이 없는 것도 아니다) 믿게 유도하는 언론에 관심을 보였다. 또한 그는 에볼라 같은 바이러스? ?실험실에서 합성이 가능하지만 전 세계에서 이 합성 기술을 아는 사람은 매우 적다고 하였다. 현재 소아마비 바이러스는 지구상에서 멸종될 단계에 와있으며, 이 바이러스가 지구상에서 곧 사라지면 소아마비 백신 접종도 중단할 계획에 놓여 있다. Wimmer 박사는 이 중단 계획이 재고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백신 접종을 중단하게 되면 한 세대에서 많은 사람들이 소아마비에 걸릴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바이러스의 살상 무기 역할을 도와주는 것이 된다고 하였다. 세계 보건 기구는 소아마비 바이러스가 다시 창궐할 것을 대비하여 백신을 많이 비축할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Wimmer 박사는 이러한 세계 보건 기구의 정책을 지구상의 모든 곳에서 뒤따라야 될 것이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