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B (ProteinDataBank) File

텍스트화일로 일반 '메모장'같은 프로그램으로 내용을 볼 수 있다. (다음은 Chymotrypsinogen A를 메모장에서 본 내용. 일부 생략)

Protein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들(누가 만들었고 소스는 뭔지와 레퍼런스, 해상도)

Protein의 AminoAcid sequence

Protein 2차구조의 정보(α-helix, β-pleated sheat, disulfide bond등)

HELIX Record Format SHEET Record Format TURN Record Fromat

3차구조로서 각 원자들의 위치를 표시

위의 내용을 살펴보면 컴퓨터에서 나타낼 분자구조를 각각 분자대로 표시하고 있다. 먼저 단백질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들(누가 만들었고 소스는 뭔지와 레퍼런스, 해상도)과 sequence, α-helix, β-pleated sheet에 대한 정보, 마지막으로 각 원자들의 3차원위치에 대한 정보들로 이루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위 파일을 메모장이 아닌 3차구조 viewer program (Chime, RasMol등)을 사용하면 3차구조를 바로 볼 수 있다. 그러면 프로그램이 각 원자의 좌표를 읽어들이고 그것을 바탕으로 분자구조를 디스플레이상에 된다. 따라서 분자구조 비주얼 프로그램은 단순히 아미노산서열을 입력해서 자신이 최적 구조를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위 처럼 이미 구조계산이 끝난 파일들을 읽어들일 뿐이다.


BiomoleculeStructureAnalysis

PdbFormat (last edited 2012-08-09 15:40:42 by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