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열이후, 생명현상의 기능이라는 부분을 담당하는 분자구조에 대한 연구 역시 생물정보학의 Main problem이다. StructuralBiology

서열 -> 구조 -> 기능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Life현상의 기본을 이해하기 위해서 구조를 연구해야함은 당연한 과제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서열로부터 구조를 정확히 예측하는 이론은 없으며, 이에 수많은 연구자들의 연구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기존의 구조결정방법들, XrayCrystallography, NMR 등의 많은 한계점들을 극복하고자 정보학을 이용하는 연구, 단백질 활성부위예측연구, ligand-receptor, protein docking등 연구를 통한 drug target 연구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분야는 실제 신약개발로 이어지는 중요한 단계로서 다양한 접근방법들이 대두되고 있다.

SungHouKim박사님이 대표적인 학자.

다양한 생물분자구조

유용한 자료들


SubsetsOfBioinformatics

BiomoleculeStructureAnalysis (last edited 2012-06-13 20:04:14 by 61)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