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2 and 4 (spanning 2 versions)
Revision 2 as of 2005-11-20 09:47:11
Size: 601
Editor: 127
Comment:
Revision 4 as of 2011-11-17 08:25:57
Size: 605
Editor: 211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6: Line 6:
[Cell]내 이온채널역할의 MembraneProtein. 잠재적인 온도센서로 알려져 있다가, 최근(2005-03)에 ScienceMagazine에 온도센서가 맞다는 결과가 실렸다. ( PubMed:15746429 ). 33도 이상의 온도에서 활성화된다고. 본 단백질을 이용하면, 각종 진통제에 활용할 수 있다고도... [[Cell]]내 이온채널역할의 MembraneProtein. 잠재적인 온도센서로 알려져 있다가, 최근(2005-03)에 ScienceMagazine에 온도센서가 맞다는 결과가 실렸다. ( PubMed:15746429 ). 33도 이상의 온도에서 활성화된다고. 본 단백질을 이용하면, 각종 진통제에 활용할 수 있다고도...
Line 9: Line 9:
 * [http://bric.postech.ac.kr/biotrend/retrend/retrend_view.php?nNum=96978 피부의 온도센서 단백질]  * [[http://bric.postech.ac.kr/biotrend/retrend/retrend_view.php?nNum=96978|피부의 온도센서 단백질]]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ation channel, subfamily V, member 3

Cell내 이온채널역할의 MembraneProtein. 잠재적인 온도센서로 알려져 있다가, 최근(2005-03)에 ScienceMagazine에 온도센서가 맞다는 결과가 실렸다. ( 15746429 ). 33도 이상의 온도에서 활성화된다고. 본 단백질을 이용하면, 각종 진통제에 활용할 수 있다고도...

관련기사


CategoryProtein

TRPV3 (last edited 2011-11-17 08:25:57 by 211)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