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7 and 8
Revision 7 as of 2011-09-07 23:26:28
Size: 1290
Editor: 222
Comment:
Revision 8 as of 2011-09-10 20:34:52
Size: 2071
Editor: 222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51: Line 51:

== 팀 성과지표 선정 방법 ==

핵심업무선정 --> 핵심성공요인(KSF) 도출 --> 핵심성과지표(KPI) Pool 작성 --> 핵심성과지표 (KPI) 확정

핵심업무선정
 1. 팀미션 정립: 어떠한 목적하에, 어떠한 고객을 대상으로, 어떠한 유형, 수준의 상품 및 서비스를, 어떠한 방법으로.
 1. 대분류 작성
 1. 주요업무 기재
 1. 비 핵심 업무 선별

핵심성과지표풀 작성방법 - BSC의 4가지 관점
 1. 재무관점
 1. 고객관점
 1. 학습 및 성장관점
 1. 내부프로세스관점

핵심성과지표 (KPI) 확정시 고려요소
 1. 전략과의 연계성
 1. 업무대표성
 1. 성과측정가능성
 1. 행동지향성
 1. 통제가능성
 1. 지표간 균형성

TeamLeadership 성과관리

성과관리의 이론적 토대

개념

  • 성과: 이루어낸 결실
  • 성과관리: 조직 구성원들이 주어진 성과 목표를 달성하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

성과관리 과정

  1. 목표설정: 상위 목표로 부터 cascading.
  2. 중간점검: 장애요인 파악 및 제거
  3. 코칭
  4. 성과 평가
  5. 피드백: 구체적 조언

평가자의 역할과 책임

역할

  1. plan: 비전 및 목표 제시
  2. do: 코칭
  3. see: 역량개발 피드백, 칭찬 및 안정

관리유형

  1. 명령지시형
  2. 비전형
  3. 관계형
  4. 참여유도형
  5. 솔선수범형
  6. 육성형

성과지표의 개념과 종류

성과지표의 역할

  1. Vision: 기업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지향점
  2. Corporate strategy: 비전 실현을 위해 전사가 진행하는 변화 방향
  3. Key Success Factor(KSF): 전략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핵심적인 동인
  4. Key Performance Indicator(KPI): KSF를 위해 창출해야할 핵심적인 성과요소

정량지표

  1. 최대추구형
  2. 범위형
  3. 최소추구형
  4. 순위비교형
  5. 상대비율형

정성지표

  1. 보고업무
  2. 일상업무

팀 성과지표 선정 방법

핵심업무선정 --> 핵심성공요인(KSF) 도출 --> 핵심성과지표(KPI) Pool 작성 --> 핵심성과지표 (KPI) 확정

핵심업무선정

  1. 팀미션 정립: 어떠한 목적하에, 어떠한 고객을 대상으로, 어떠한 유형, 수준의 상품 및 서비스를, 어떠한 방법으로.
  2. 대분류 작성
  3. 주요업무 기재
  4. 비 핵심 업무 선별

핵심성과지표풀 작성방법 - BSC의 4가지 관점

  1. 재무관점
  2. 고객관점
  3. 학습 및 성장관점
  4. 내부프로세스관점

핵심성과지표 (KPI) 확정시 고려요소

  1. 전략과의 연계성
  2. 업무대표성
  3. 성과측정가능성
  4. 행동지향성
  5. 통제가능성
  6. 지표간 균형성

TeamLeadership/Performance (last edited 2011-09-29 23:41:26 by 222)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