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85476760


8971671378

The Web of a Life - FritjofCapra

http://www.tcd.ie/Physics/Schrodinger/Lecture3.html

Life현상에 대한 SystemsThinking

http://e.biohackers.net/The_Web_of_Life

책 부제 ' 생물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과학적 이해' 에서 볼 수 있듯이 생명현상에 대해 최신의 현대과학으로 설명해 놓은 책이다. 현대과학들도 조금은 생소한 분야인 NonLinearDynamics, 동역학적 시스템이론, ComplexSystem, 연결망동력학, Chaos, Fractal, 소산구조, 자기조직, 테크톨로지, Cybernetics, 심층생태학 등의 얘기들이 나오는데... 좀 어렵기는 했지만... 전체적 의미를 파악하는데 중심을 두고 읽었다.

잠시 머리말의 일부를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생명을 이해하기 위한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전세계의 저명한 연구자들과 그들의 연구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 중 몇 사람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브뤼셀 대학의 일리야 프리고진 ('혼돈으로부터의 질서'저자), 산티아고에 있는 칠레 대학의 움베르토 마투라나 (마투라나 진화론 창시자), 파리의 이공대학에 있는 프란시스코 바렐라, 매사추세츠 대학의 린 마굴리스, 예일 대학의 브누아 만델브로, 산테페 연구소의 스튜어트 카우프만. 전문적인 논문과 저서들을 통해 발표된 핵심적인 발견들은 거의 혁명에 가까운 충격을 주었다. 그러나 지금에 이르기까지 어라한 새로운 발견들을 하나의 단일한 맥락으로 통합시키고. 일반독자들이 하나의 일관된 방식으로 그러한 흐름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 총체적인 종합을 제안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이책 이 바로 그러한 종합의 시도이다. 생명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기계론 세계관에서 생태학적 세계관으로의 Paradigm 전환을 이루는 과학의 최전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후략)

머리말그대로... 고등교육과 대학에서 전공교육만으로 최신의 현대과학을 접할 길이 없다. 이미 세계의 석학들은 각자의 분야에세 최신의 이론을 갖추고 있으며, 우리는 모르고 있었다. 단지,,, 아직 과학이 그것밖에 안되는구나.. 생각했던것이다.

물론, 아직 정답을 제시한건 아니지만 생명현상에대한 카프라 아저씨의 통찰력에 박수를 보낸다.

부분에서 전체로, 대상에서 관계로 인식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으며 최근의 현대과학적 이론을 집대성하고... 그것들로 생명현상을

이라는 세가지로 함축해서 설명했다.

그리고는 진화에대한 자신의 이론 을 피력하고... (돌연변이, 자연선택 뿐아니라, 재조합, 공생... ) 마지막부분에는 마음, 인식, 자아라는 것또한 어렵게 나마 설명했다.

-- yong27 2000-6


See also 생명의그물


CategoryBookBio

TheWebOfLife (last edited 2015-04-09 19:35:22 by 210)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