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
1. 제어 가능한 생명체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 2. 제어 가능한 생명체를 만들 수 있는 방법
- 생명체에 필수적인 영양분을 직접 생산할 수 없고, 외부로부터 의존하게 만든다
3. 생명을 구분하는 조건들
- 자기 복제 B. 물질 교환 C. 자기 유지(?)
4. 생명체를 계층별로 분류하고 각 계층에 해당하는 예를 든다
- 계층별로 구분하는 이유는 낮은 계층의 생명체부터 만들기 위해서이다
5. 만약 현재 있는 생명체들의 조각들을 조합해서 새로운 셀을 만들었을 때 조합된 상태는 어떤 셀이 어떤 시기일 때가 가장 만들기 적합한 상태일까 6. 인공 생명체를 만듦으로써 얻어지는 이익은 무엇일까 7. 진화 가능한 생명체를 만들어 진화 실험을 할 수는 없을까
- 제어 가능한 상태는 잃어버리지 않게 한다. B. 제어 가능한 상태를 잃어버리게 되면 생기는 문제점
8. 자기와 비자기를 구분하는 능력이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 일에 꼭 필요한 일인가 9. 바이러스에 대해서 10. 바이러스가 가장 만들기 쉬운 생명체 중의 하나인가 11. 가장 만들기 쉬운 생명체란 12. 컴퓨터 셀 모델과 새로운 생명체와의 관계 13. 기계론적 생명체 모델 14. 유전체 분석과 인공생명과의 관계 15. 생명체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들 16. 인공 생명체를 만들기 위한 모임 17. 컴퓨터를 이용한 인공 생명체 연구
- 시뮬레이션
18. 현존하는 가장 간단한 생명체들
- 각 계층별 생명체를 예를 든다
19. 인공 생명체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생물리, 생화확적 지식들
- 각 조각들 합성
- DNA 합성 ii. RNA 합성 iii. Protein 합성
20. 인공 생명체가 에너지를 얻는 과정 21. 인공 생명체의 모든 부분이 현재 생명체와 비슷해야 되는가 22. 로봇틱스와 인공 생명체의 결합 23. 나노 테크놀로지와 인공 생명체의 결합 24. 수정란에 대해서
- 수정란의 임의의 유전자를 발현 시키는 방법
25. 세포막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26. 세포막 전위차를 유지하는 방법 27. 인공 생명체 이용방안
- 특정 광물질만 모으는 생명체를 만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