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Calendar: execution failed [Macro instance has no attribute 'form'] (see also the log)>>
지난 주 수업 후 생긴 휴유증이 장난이 아니다. Deterministic과 Stochastic이란 단어를 보아온 것이 하루이틀이 아닌데, 이제서야 이런 생각들을 하게 되었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이다. (그동안 수많은 노이즈 -여러 학문적 접촉- 속에서 한번도 Positive Feedback에 의한 튀어오름이 한번도 없었나? )
아침에 지하철에서 이런 생각을 해봤다. 세상이 초기값이 셋팅된 상태에서 Deterministic한 형태로 원리들이 작용하게 되어 지금의 세상이 만들어 질 수 는 없는 것일까? 그러한 과정에서의 복잡성이 너무도 높기 때문에 우리가 보기에는 단순히 우연에 의한 것이라고, 즉 Stochastic한 것이라고 생각된 것은 아닐까?
만일 작은 계가 하나 있다 가정하자. 그 계를 지배하는 법칙은 아주 단순한 4~5가지로 한다. 그 작은 계 내에서의 모든 법칙이 영향을 미칠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초기값을 완벽하게 알고 있을 때, 계속해서 법칙들이 요소들에 작용하는 것을 계산해내면 특정시간의 특정상태에 대해 예측할 수 있지 않을까? 즉 Deterministic하다는 것이 성립되지 않을까? 단지 우리가 이 지구, 이 우주의 초기값들을 전혀 정확하게 알지 못하기 때문에, (지금 현재가 초기값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역시 측정 불가능하다) 그리고 그 법칙들 조차도 완벽히 간파하지 못했기 때문에 세상 일들이 우연에 의해 지배되는 것처럼 보이지 않을까?
아니면, 지금 내 마음이 이끌리는 바대로, 어떠한 특정한 법칙은 존재하되 그 사이사이에 우연의 효과가 어느정도의 역치를 넘어서서 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둘중 어느경우라 하더라도, 완벽하게 알지 못하는 Deterministic Method보다는 Stochastic Method가 보다 더 효율적인 방식을 만들어낼 것 같다 라는 것이 현재의 결론이다.
지난 주에 스터디 때 무슨 일이있었어? 내 생각에는 이 분야에서는 당연히 Stochastic Method를 사용한다고 생각하지만, 사람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비밀을 밝혀낸다면 Deterministric Method 를 사용하는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함. 그 이유는 사람의 지문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사람 지문이라는 것이 어머니에 배속에 있다가 나오면서 물이 빠지면서 생기는 거라고 하는데, 그래서 전부 지문이 다른 형태로 되어 있다고 하더군. 그런데 더욱 재미있는건 일란성 쌍둥이는 지문도 같다는 거야..신기하지? 결국 지문 이라는게 물이빠져나가면서 생기는 우연에 의한 산물인데, 그것조차도 피부를 이루는 단백질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정되는게 아닐까 생각이 들더라구... 그렇다면 생물체에 일어나는 현상들도 그렇지 않을까 한번 생각을 해보게 되었어...--[neosphere]
일란성 쌍둥이도 지문은 다르지 않아? 집에가면 동생 붙잡아 놓고 비교를 해봐야겠군.. --[destine]
- 너 쌍둥이였니? 와! --[indigoH]
음 쌍둥이얘기 정말 매력적인걸? 요즘 자꾸 양자역학쪽으로 관심이 가게 되는 이유가, 양자역학 그 자체도 '진실은 Stochastic 하다'라는 것을 말하고 있지 않은가 라는 생각이 들어서야. 아직 내가 아는게 하나도 없어서 뭐라 말할 수 없지만.. 네 말대로 사실은 Deterministic이 진실이고 우리가 완전히 알지 못해서 Stochastic한 세상으로 보일 수도 있을거라고 생각하기도 해. 뭐가 맞는지 모르겠고, 알고 싶어 --[indigoH]
Deterministic이나 Stochastic이나 결국은 관찰자 입장에서의 모델에 불과하지 않을까? --[picxenk]
"절대적인 진리"가 존재하는가 아닌가가 달라진다고 생각되어서 말이야. 어떤 모든 가정되는 법칙들을 다 알아냈다 하더라도, 정확한 결과의 시뮬레이션이 될수 있는가, 없는가가 달라질거 같거든. Stochastic의 경우는 그 값이 확률분포로 나올테니 말야. 실험이 완벽히 똑같은 상황에서도 재현될수 없다면, 그건 Stochastic한 것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 물론 "완전히 똑같은 상황"이란 가정이 되었을때의 이야기지만.. --[indig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