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7-03]

[../2007-05]

(->)

2007 / April
Sunday Monday Tuesday Wednesday Thursday Friday Saturday
-1- -2- -3- -4- -5- -6- -7-
식목일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2007-04-19

{{| Genetic and epigenetic variations ensure that no two people are exactly alike, and the same holds true for any two cancers. Now, researchers have the tools and the knowledge to help predict how individuals will respond to cancer therapies, enabling them to create more effective therapies for individual cancers |}}

  • : 항암치료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요인은 같은 장기에 생긴 암이라도 항암제치료에 의한 반응, 즉 효과가 사람마다 다르고 전혀 치료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항암제를 투여하기 전에 조직을 배양하여 민감성 테스트를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반응하는 항암제로 치료를 하게 되는 데, 그러한 효과를 확인하는 데 이용되는 Target Marker에 관한 내용이다.
  • cancer tip nanoparticles can damage dna increase cancer risk -- Biology News Net

{{| She and her team examined the genotoxicity of silica and C60 fullerene nanoparticle suspensions using the alkaline 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assay (Comet assay) to quantify breaks in single and double stranded DNA. The team chose these particular nanoparticle types because they are commonly used commercially – in electronics, textiles and sporting goods – and easy to work with in the laboratory setting.

"We observed both dose-dependent and time-dependent increases in DNA damage in breast cancer cells exposed to either aqueous colloidal silica or C60 fullerenes," Pacheco said. "The DNA damage could potentially lead to mutations and ultimately increase the risk of cancer." |}}

  • : [NanoTechnology]는 미래의 유망산업 중 하나이다. 그 중에서도 의학분야에서는 [CancerTherapy]의 목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인데, 본 내용에서는 nanoparticle이 DNA에 damage를 일으킬 수 있고, 이로 인해 [Cancer]가 될 위험성이 있다는 것으로 암세포를 공격하는 데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으나 이로인해, 정상세포에도 damage가 갈 경우, 오히려 [Cancer]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아직은 위험하다고 볼 수 있다. 더군다나, 현재의 기술로는 nanoparticle을 걸러낼 수 없기 때문에, 사람에게 투여할 경우 체내에 남아서 위험요소로 작용 할 수 있다.


2007-04-18


2007-04-17

{{| The results were unexpected. The researchers noticed that only a few proteins were common to both processes. Proteins called transcription factors, which affect DNA in the cell's nucleus, were highly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embryos' livers but not in adult liver regeneration. Instead, proteins that help cells proliferate were active in both the developing and regenerating livers.

These findings showed that a regenerating liver does not behave as a developing embryo. Instead, regeneration could actually be only due to an increase in cells that multiply through regular cell divisions, a process called hyperplasia. |}}

  • : 간(Liver)는 다른 장기에 비해서 재생능력이 가장 뛰어난 장기이다. 전체 크기의 2/3을 제게해도 다시 회복된다.(물론, 완벽히 똑같은 상태는 아니지만...)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발생상태의 Mice의 Liver와 2~3정도 Liver를 제거한 Mice의 조직에서 발현되는 mRNA Level을 DNA [MicroArray] 방법으로 비교하여, 어떤 Gene이 발현되는 지를 확인해 보았는데, 예상했던 것과는 달리 서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Gene은 매우 작았다. 즉, 발생단계에서 Liver가 형성되는 과정과 손상된 Liver가 재생되는 과정은 다른다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Transcription Factor와 같은 복잡한 과정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 몇가지 특징적인 단백질에 의해서 Liver Regeneration이 가능하는 것을 발견했다.

  • mailman school of public health researchers report blood dna can be early predictor of liver cancer -- Biology News Net

{{| The Mailman School researchers and colleagues studied the blood of patients enrolled in a cancer screening program in Taiwan, who provided repeated blood samples prior to diagnosis. A total of 12,000 males and over 11,900 females recruited in 1991-2 are being followed. Screenings performed by the team of Mailman School scientists found changes associated with cancer in serum DNA, presumably released from the tumor, one to nine years before actual clinical diagnosis.

Certain clinical risk factors such as age and hepatitis B and C virus infections, are well documented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HCC. According to the study findings, these factors coupled with smoking and alcohol status, and alterations found in this study in serum DNA, resulted in an overall predictive accuracy of 89% for detection of HCC. |}}

  • : Cancer Research에 있어서 최근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되는 것은 암이 발생한 초기에 어떻게 찾아 내는가이다. 현실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아직까지 중기 이상의 암환자를 완치시키는 것은 불가능하고, 사람마다 그 치료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암을 치료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어렵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이다. 그래서, 초기에 발견을 하게 될 경우 발생한 위치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간단한 수술이나 치료요법으로 90%이상이 완치가능하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는 도구나 진단 표지자(Target Marker)를 찾는데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위의 내용에서는 내원환자의 혈액에서 특정 DNA를 찾는 방법으로 간암(HCC)의 발생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으로, 다른 물질 (예를 들면, RNA, 단백질)에 비해 전처리 없이 검출이 간단하고, 소량의 DNA도 증폭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2007-04-13

{{| The rhesus, because of its response to the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SIV), is widely recognized as the best animal model for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The rhesus genome sequence will also serve to enhance essential research in neuroscience, behavioral biology, reproductive physiology, endocrinology and cardiovascular studies. In addition, the rhesus serves as a valuable model for studying other human infectious diseases and for vaccine research. |}}

  • : Chimp에 이어서 또하나의 Primate Genome이 밝혀졌다. 위에 나와있듯이 rhesus monkey가 선정된 이유는 HIV와 비슷한 SIV의 질병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rhesus의 경우 chimp genome에 비해서 더 원시적인 즉, human에서 더 먼 상동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통해 human genome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2007-04-12

{{| The research examined three related receptor proteins, called GPR3, GPR6 and GPR12, on nerve cells in the brains of rats.

When researchers increased the amount of the three proteins, the cells grew extensions that were up to three times longer than those on nerve cells with normal levels of the proteins, and the extensions grew four to eight times faster than in control cells.|}}

  • : 교통사고로 인해 중추신경에 손상을 입게 되면 걷지를 못하게 되는데, 가장 큰이유는 한번 손상받은 신경세포는 다른 세포와 달리 재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오래전부터 신경손상을 치료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해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3가지 단백질이 신경세포를 재생하는데 관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내용에 따르면 Mammalian Nerve Cell에서는 cAMP 의 level이 떨어져 있는데 이것이 신경재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있으며, 위의 3 protein이 cAMP의 level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7-04-11

{{| In the stable or fluorescent state of the molecule, two side chains of atoms align in a coplanar fashion, flat and in orderly fashion. When hit with bright laser light, the researchers observed that the protein rapidly went dark as the rings rotated about 180 degrees and flip by some 45 degrees, coming to rest in a non-coplanar and unstable alignment. The two structures gave the researchers a chance to observe changes in the interactions between neighboring groups. |}}

  • : 분자생물학적인 연구에 있어서, Fluorescent Protein을 이용하는 것은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특정한 단백질이 세포내에서 어디에 존재하고, 어떤 단백질과 상호작용을 하는지를 세포내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가지 단점이라면 Fluorescence activity가 유지되는 기간이 짧거나 그 intensity가 너무 낮아서 현미경 상에 잘 안보이는 경우가 있었는데, 위의 내용은 Fluorescence activity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매우 유용할 것이다.


2007-04-07


2007-04-05

  • 요즘 넘 뜸하게 위키에 글을 쓰는것 같다. 반성하자.!!
    • 아무래도, Me2Day 랑 이곳이랑 좀 중복되는 듯 하죠? -- yong27 2007-04-05 18:41:35

      • 연구나 공부에 관련된 것은 여기에, 일상적인 내용은 Me2Day에 쓰려고 합니다. -- terra19 2007-04-06 10:13:08


(<-)

[../2007-03]

[../2007-05]

(->)


terra19/2007-04 (last edited 2011-08-03 11:00:42 by localhost)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