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3 and 9 (spanning 6 versions)
Revision 3 as of 2007-04-06 10:12:35
Size: 612
Editor: 128
Comment:
Revision 9 as of 2007-04-13 11:32:29
Size: 4789
Editor: 128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3: Line 3:
#!Calendar  #!Calendar
Line 8: Line 8:
== 2007-04-13 ==
 * [http://www.biologynews.net/archives/2007/04/12/analysis_of_rhesus_monkey_genome_uncovers_genetic_differences_with_humans_chimps.html analysis of rhesus monkey genome uncovers genetic differences with humans chimps] -- Biology News Net
{{|
The rhesus, because of its response to the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SIV), is widely recognized as the best animal model for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The rhesus genome sequence will also serve to enhance essential research in neuroscience, behavioral biology, reproductive physiology, endocrinology and cardiovascular studies. In addition, the rhesus serves as a valuable model for studying other human infectious diseases and for vaccine research.
|}}
  : Chimp에 이어서 또하나의 Primate Genome이 밝혀졌다. 위에 나와있듯이 rhesus monkey가 선정된 이유는 HIV와 비슷한 SIV의 질병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rhesus의 경우 chimp genome에 비해서 더 원시적인 즉, human에서 더 먼 상동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통해 human genome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ImageDisplay(http://www.haryana-online.com/images/rhesus_macaque.jpg, 150)]]
----
== 2007-04-12 ==
 * [http://www.biologynews.net/archives/2007/04/11/3_proteins_may_play_important_role_in_nervecell_repair.html 3 proteins may play important role in nervecell repair] -- Biology News Net
{{|
The research examined three related receptor proteins, called GPR3, GPR6 and GPR12, on nerve cells in the brains of rats.

When researchers increased the amount of the three proteins, the cells grew extensions that were up to three times longer than those on nerve cells with normal levels of the proteins, and the extensions grew four to eight times faster than in control cells.|}}
 : 교통사고로 인해 중추신경에 손상을 입게 되면 걷지를 못하게 되는데, 가장 큰이유는 한번 손상받은 신경세포는 다른 세포와 달리 재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오래전부터 신경손상을 치료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해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3가지 단백질이 신경세포를 재생하는데 관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내용에 따르면 Mammalian Nerve Cell에서는 cAMP 의 level이 떨어져 있는데 이것이 신경재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있으며, 위의 3 protein이 cAMP의 level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 2007-04-11 ==
 * [http://www.biologynews.net/archives/2007/04/10/structural_basis_for_photoswitching_in_fluorescent_proteins_brought_into_focus.html structural basis for photoswitching in fluorescent proteins brought into focus] -- Biology News Net
{{| In the stable or fluorescent state of the molecule, two side chains of atoms align in a coplanar fashion, flat and in orderly fashion. When hit with bright laser light, the researchers observed that the protein rapidly went dark as the rings rotated about 180 degrees and flip by some 45 degrees, coming to rest in a non-coplanar and unstable alignment. The two structures gave the researchers a chance to observe changes in the interactions between neighboring groups. |}}

 . : 분자생물학적인 연구에 있어서, Fluorescent Protein을 이용하는 것은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특정한 단백질이 세포내에서 어디에 존재하고, 어떤 단백질과 상호작용을 하는지를 세포내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가지 단점이라면 Fluorescence activity가 유지되는 기간이 짧거나 그 intensity가 너무 낮아서 현미경 상에 잘 안보이는 경우가 있었는데, 위의 내용은 Fluorescence activity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매우 유용할 것이다.
----
== 2007-04-07 ==
 * [http://www.biologynews.net/archives/2007/04/05/row_over_study_puts_koreas_scientific_community_under_scrutiny_again.html row over study puts koreas scientific community under scrutiny again] -- Biology News Net
  . : [StemCell] 분야에서 또 다시 부끄러운 일이 발생하였다. 이로인해 한국과학계의 인식이 안좋와질 것은 분명하다.
----
Line 10: Line 36:
  ''아무래도, Me2Day 랑 이곳이랑 좀 중복되는 듯 하죠? '' -- ["yong27"] [[DateTime(2007-04-05T09:41:35Z)]]
     ''연구나 공부에 관련된 것은 여기에, 일상적인 내용은 Me2Day에 쓰려고 합니다.'' -- ["terra19"] [[DateTime(2007-04-06T01:12:02Z)]]
  . ''아무래도, Me2Day 랑 이곳이랑 좀 중복되는 듯 하죠? '' -- ["yong27"] [[DateTime(2007-04-05T09:41:35Z)]]
   . ''연구나 공부에 관련된 것은 여기에, 일상적인 내용은 Me2Day에 쓰려고 합니다.'' -- ["terra19"] [[DateTime(2007-04-06T01:13:08Z)]]
Line 15: Line 41:
 . CategoryWebLogTerra   . CategoryWebLogTerra

(<-)

[../2007-03]

[../2007-05]

(->)

2007 / April
Sunday Monday Tuesday Wednesday Thursday Friday Saturday
-1- -2- -3- -4- -5- -6- -7-
식목일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2007-04-13

{{| The rhesus, because of its response to the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SIV), is widely recognized as the best animal model for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The rhesus genome sequence will also serve to enhance essential research in neuroscience, behavioral biology, reproductive physiology, endocrinology and cardiovascular studies. In addition, the rhesus serves as a valuable model for studying other human infectious diseases and for vaccine research. |}}

  • : Chimp에 이어서 또하나의 Primate Genome이 밝혀졌다. 위에 나와있듯이 rhesus monkey가 선정된 이유는 HIV와 비슷한 SIV의 질병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rhesus의 경우 chimp genome에 비해서 더 원시적인 즉, human에서 더 먼 상동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통해 human genome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ImageDisplay(http://www.haryana-online.com/images/rhesus_macaque.jpg, 150)


2007-04-12

{{| The research examined three related receptor proteins, called GPR3, GPR6 and GPR12, on nerve cells in the brains of rats.

When researchers increased the amount of the three proteins, the cells grew extensions that were up to three times longer than those on nerve cells with normal levels of the proteins, and the extensions grew four to eight times faster than in control cells.|}}

  • : 교통사고로 인해 중추신경에 손상을 입게 되면 걷지를 못하게 되는데, 가장 큰이유는 한번 손상받은 신경세포는 다른 세포와 달리 재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오래전부터 신경손상을 치료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해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3가지 단백질이 신경세포를 재생하는데 관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내용에 따르면 Mammalian Nerve Cell에서는 cAMP 의 level이 떨어져 있는데 이것이 신경재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있으며, 위의 3 protein이 cAMP의 level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7-04-11

{{| In the stable or fluorescent state of the molecule, two side chains of atoms align in a coplanar fashion, flat and in orderly fashion. When hit with bright laser light, the researchers observed that the protein rapidly went dark as the rings rotated about 180 degrees and flip by some 45 degrees, coming to rest in a non-coplanar and unstable alignment. The two structures gave the researchers a chance to observe changes in the interactions between neighboring groups. |}}

  • : 분자생물학적인 연구에 있어서, Fluorescent Protein을 이용하는 것은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특정한 단백질이 세포내에서 어디에 존재하고, 어떤 단백질과 상호작용을 하는지를 세포내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가지 단점이라면 Fluorescence activity가 유지되는 기간이 짧거나 그 intensity가 너무 낮아서 현미경 상에 잘 안보이는 경우가 있었는데, 위의 내용은 Fluorescence activity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매우 유용할 것이다.


2007-04-07


2007-04-05


(<-)

[../2007-03]

[../2007-05]

(->)


terra19/2007-04 (last edited 2011-08-03 11:00:42 by localhost)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