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4533
Comment:
|
Size: 4553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75: | Line 75: |
|| [../2005-05] || |
2005-06-23
MoinMoin을 FastCgi로 돌리는데, 혹시나 봤더니, 메모리사용량이 무지막지하더라. 처음 실행된 이후로 꾸준히 증가하더니, 5배정도 된 이후로는 그리 많은 변화가 없는듯. 그렇다고 그냥 [CGI]로 돌리자니, 약간 느리기도 하고, cpu사용량도 많다. [Python]같은 언어로 서버를 만들때 항상 고려해야할 부분인듯싶다. 메모리사용현황...
이전을 완료하기 위해서 추가로 해야할일 리스트
매크로수정 : MonthCalendarMacro, QuoteFortuneMacro, EmailMacro, IncludeJsMacro, IsbnMacro
- 파서수정 : [HTML]
UploadFile 옮기기
- technote 게시판 인코딩점검
[CVS]서버이전, ViewCvs세팅
[DNS], [DDNS], SendMail 세팅
- 이전종합레포트
2005-06-22
서버이전첫날째. 이것저것 잔 손길이 많이 간다. 이전[URL]을 유지하자니, 관리에 혼선이 올것같아, 새 형식으로 변경중.
2005-06-17
[http://oswd.org/premium/ Opensource web design] OpenSource Web [Design] 사이트
2005-06-15
[http://times.postech.ac.kr/script/view.asp?section=특집&idx=198 도올 김용옥이 말하는 한국과학사상이 나아갈 길]
과학은 가치중립적이지 않다고 이야기되고 있다. 현실과 너무 가깝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지금의 민주주의를 만든것도 과학이라고... 우리나라에서의 인터넷의 역할에 대해 느끼는바가 크다. 당시, 초고속통신망만 깔았을뿐인데, 오히려, 그곳에서 민주주의가 나오고 있다. 예전의 덜 과학적이였던 사회는 인터넷을 통해 더욱 과학적으로 변하고 있다. 물론 안그런 부분도 있긴하지만...
2005-06-13
중국 광동성에 산다는 세상에서 가장작은 원숭이
attachment:SmallMonkey.jpg
계통분류학적으로 인간과 그리 멀지 않은 종인데도 불구하고, 참 다양한 모습들을 갖고 있다. GeneticsInTheWild에도 특이한 원숭이들이 소개된적 있는데... 그러고 보면, [Evolution]의 변화는 그리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듯하다.
2005-06-09
2005-06-07
보다 창조적이기위해서는 보다 여유로와야 한다? 관련글 Slack
[http://www.ddanzi.com/new_ddanzi/168/168sc_036_1.asp 이공계위기의 근본적해결을 위한 제언]
인문학의 중요성을 물리학자가 이야기한다. 더욱 설득력있다. 학문의 가치는 돈으로 환산될 수 없는것이란 마인드는 가능한가?(특히도 나에게)...
기초의 중요성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하지만, 시간은 한정되어 있고, 풀어야할 문제는 많다면, 언제까지고 기초에만 매달릴 수 는 없는일. 어디까지가 기초인지도 분명치 않다. 레벨을 넘나들며,다양한 분야의 경험을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라 생각해본다. 특히도, 지원의 코멘트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2005-06-06
LinuxDesktop 환경설정에 아직까지 어려움이 많다.
StarWars Episode3 보다.
2005-06-03
[http://www.ohmynews.com/articleview/article_view.asp?at_code=259558 워터게이트와 위증죄]
저 사건으로 나온 용어. 게이트는 권력주변의 비리/부정, DeepThroat는 내부고발자를 의미하게 되었다고. 저 내부고발이 민주주의를 수호한 영웅적 행동이였다고 평가되기도 하지만, 그보다 국장이 되지 못한 앙갚음때문이라는 생각... 대통령을 바꾸기위해서는 철저한 증거또한 필요했다.
퓰리처상을 받았다던 기자들. 취재도 취재지만, 끝까지 제보자를 숨긴점이 대단한것같다. 누구누구처럼 가볍지 않다.
2005-06-01
[http://www.jisikmall.com/ 지식몰]이란 곳이 있더만. 특정 컨텐츠를 사고팔게 하여, 수익을 남기는 구조. 컨텐츠를 많이 보유한 사람은 이곳을 통해 돈을 벌고 싶은 맘이 들기도 하겠다. IT분야에서의 수익모델이 다양하다지만, 이런방법도 있구나 싶다. 한편으로는 [Google], 네이버지식인등을 통해 유료정보가 줄어든다는 단점도 있지만, 그래도 정보의 성격상 그렇지 않은부분도 있으니...
[../20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