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75704027


8970123695

http://e.biohackers.net/Norwegian_Wood

HarukiMurakami의 소설. 한국어판 제목 상실의 시대. 노르웨이의 숲은 원제로 비틀즈의 동명곡을 모티브로 만들었다.

20여개 언어로 번역되어, 국제적으로도 널리 읽힘.

  • 그러고보니, 우리나라 문학작품중에는 이런 케이스가 없지않나... 음


비내리는 여름휴가중...TheGreatGatsby얘기가 나온다길래 읽기시작 2002-8-6

생각나는 대사들

  • 심각해지지 않으려고도 노력했다. 심각해진다는 것이 반드시 진실에 가까워진다는 것과 같은 뜻이 아니라는 것을, 나는 어슴푸레하게나마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 담배 왜 끊었어? 귀찮아서지. 밤중에 담배가 떨어졌을 때의 그 괴로움, 그런 것 말야. 그래서 끊었지. 무엇에든지 그런식으로 속박당하는 건 좋아하지 않아. 후후.. 딱 내맘이다.

  • 무엇이든 정직하게 말해. 그게 가장 좋아. 혹 그 말이 서로에게 상처를 입히게 되더라도, 긴 안목으로 보면 그게 최상의 방법이야.
  • 영어의 가정법같은것이 일상 생활속에서 무슨도움이 되지? 별로 없지 않을까 하지만 구체적으로 무슨 도움이 된다기보다는, 그런게 사물을 더욱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훈련이 된다고 나는 생각해. 생각의깊이가 다르군. 나라면, 언젠가 외국같을때 등으로 예를 들었을텐데... 정말 맞는얘기다.

  • 집단적 이상주의에서 개인중심의 현실주의로의 전환. --평론에서
  • 이걸 외설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일종의 성적인 억압 상태에 빠져 있다고 보아야 한다. --성묘사에 관해 언급하며 하루키

2002-8-10 다 읽었다.

참 재밌게 읽었다. 여자얘기(물론 연애소설이니깐..)가 넘 많아서 화날려고도 했다. 왜냐... bcz i'm alone -_-; 혹자는 자기만의 구렁텅이에 허우적대는 사람들의 이야기라고 얘기하기도 했지만, 나 역시 허우적대고 있으니, 공감가지 않을 수 없다.

TheCatcherInTheRye, TheGreatGatsby와도 유사한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자전적장편소설. 나도 자전적장편소설 함쓸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마지막, 미도리에게 전화거는 장면은 잊혀지지 않을듯. 그런 고백을 하고싶다.

-- yong27

뭐랄까, 이책을 통해 일본을 다시 보게되었죠. 언제까지 미워할수만은 없는 나라... --yeji

한가지 특이한 것은, 하루끼의 단편소설 여기저기에서 이 소설의 등장인물이 등장한다는 점이다. 마치 잃어버린 조각을 맞추는 느낌이 신기했다. --indigoH

  • 성석제님의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에서도 그런 느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destine


무겁게하기/가볍게하기 - 소위 '쿨'이라는 문제

쿨하다는 의미는 감정의 오버를 거부한다는... NorwegianWood가 그 가운데 있었군. 외롭다 힘들다 느끼면서도 그냥 그렇게 살고 있는것은 저 책의 영향인듯도 싶다. 제목으로만 보면, TheUnbearableLightnessOfBeing도 유사한 내용. 삶의 무게를 느끼느냐, 마느냐...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난 (남들이 보통) 무거워야 할 부분이 가볍고, 가벼워야할 부분이 무거운것같다. --yong27, 2005-06-09


SeeAlso 상실의시대


CategoryBookFiction

NorwegianWood (last edited 2017-09-03 07:48:46 by 183)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