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이들의 건강상태와 질병분포, 그리고 그 관련요인을 연구하는 학문.

예전에는 전염병과 관련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학문으로 정의되었으나, 최근 비전염성 질병이 전염성 질병보다 훨씬 더 많이 발생하면서 역학의 대상질병들 및 방법론들이 광범위하게 확대되었음.

  • Three Components of Epidemiological study
    1. distribution
      • 언제 어디에서 질병이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조사.
    2. frequency of disease
      • Systematic Investigation을 통한 지역인구집단에서의 질병발생 패턴을 포함한 frequency 조사.
    3. determinants
      • 질병이 발생하는 원인들로 예상되는 항목들. 흡연량, 식습관, 과거력 등.
  • 임상과 역학과의 차이점.
    1. 대상자
      • 임상의학은 환자 개인을 대상으로 하고, 역학은 지역사회내 건강인을 포함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함
    2. 목적
      • 임상의학은 치료를 목적으로 하고, 역학은 환자 조기발견 및 예방을 목적으로 함 임상의학은 질병자체의 기전에 초점을 맞춘 반면, 역학은 질병 발생의 위험요인 규명에 촛점을 맞춤.
    3. 접근방법
      • 임상의학은 기초의학이나 기존연구, 환자치료등에서 오는 경험주의적 접근을 기본으로 하고, 역학은 인구집단을 관측하여 개인의 집합체로서 대표성을 지니는 측정치로 표현함
  • 질병발생의 다요인설
    1. 역학적 삼각형 - Epidemiological Triangle
      • 질병발생이 숙주, 환경 및 병인의 3요소로 되어있어 상호간의 평형이 깨지면 질병발생이 많아진다는 설.
    2. 거미줄형 - Web of Causation
      • 질병발생은 여러 원인이 서로 연관되어 있어, 선행하는 여러 가지 요소가 복잡한 계보를 이루는 결과로서 어떤 질병이 발생한다는 설
    3. 수레바퀴형 - Wheel Model
      • 수레바퀴의 중심부를 사람으로 두고, 이를 둘러싼 바퀴부분은 질병의 종류에 따라 여러 질병요인들로 구성된 것으로 봄. 사람 부분의 핵심은 유전적인 소인이고, 질병요인은 질병의 병인보다는 사회적 환경과 같은 그 이외의 원인들을 찾는 것을 중요시함.
  • 역학 연구의 두가지 형태
    1. Cohort Study
      • Population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범위 구분 기준을 위험요인에 대한 노출/비노출의 여부로 놓고 그 분류군간의 질병발생에 대한 추적조사를 수행하여 CohortConstruction을 함. 예를 들어 흡연이라는 위험요인에 노출된 인구와 비노출 인구내의 일정시간동안의 폐암 발생률을 조사하여 흡연과 폐암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사용함.

    2. Case-Control Study
      • 의학쪽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Popluation 연구에 있어서 분류기준을 환자/정상인으로 하고 환자와 정상인간의 비교를 수행하는 것임.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