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현상은 단순한 Protein발현에 의한 기능작용의 범위를 넘어서 ProteinProteinInteraction 및 일련의 BiologicalPathway를 만들고, 이러한 pathway들이 얽혀있는 network를 이룬다.
이른바 EmergentProperty라고 불리워지는 일련의 시스템적 접근방법을 통해 기존의 하나하나 유전자의 이상유무판단이 아닌 network상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판단하는 분야이다. 실제 FunctionalGenomics에서 많이 사용하는 GeneKnockout 실험의 결과를 보면 50% 이상이 아무이상없는 결과를 보이며, 이는 실제 network로 인해 생명현상이 움직이기 때문이다.
cancer 및 고혈압등의 많은 과제로 남아있는 복잡한 병세현상은 이 network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의 ExpressionProfile실험의 분석결과들은 이러한 network연구의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GeneticNetwork의 연구는 바로 SystemsBiology의 연구로 이어진다.
GeneticNetwork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는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용열
넓은 의미에서는 ProteinProteinInteraction 및 BiologicalPathway들이 모두 GeneticNetwork의 예이긴 합니다. BiologicalDatabase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좁은의미로 쓰이는 GeneticNetwork는 Gene레벨에서만 어떤 유전자가 어떤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더라 (예, TranscriptionFactor)만을 네트워크로 표시한 것인데, 아직 DB로는 본적이 없습니다. 찾아봐야겠습니다. --yong27, 2005-04-07
감사합니다. 저는 좁은 의미의 GeneticNetwork를 말한 것입니다. MicroArray 데이터로부터 GeneticNetwork를 ReverseEngineering하는 작업을 하여 그 결과를 실제로 존재하는 TranscriptionFactor의 조절들과 비교하고자 하는데 혹시 그런 데이터베이스가 있을까 하여 질문을 드렸습니다. ReverseEngineering을 연구하게 되면 그런 데이터가 필요할 것이고, 그래서 어딘가에 정리되어 있어야 할 것 같은데 잘 찾지 못하겠더군요. ; --안용열
MolecularBiologyDatabaseCollection을 좀 뒤져봤는데, GeneNet과 TransPath가 좀 비슷하지 않나 싶습니다. --yong27, 2005-04-08
감사합니다.
--안용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