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3-07]

[../2003-09]

(->)


2003-08-08

현각스님의 TheMatrixReloaded 관람기를 읽다.


틈을내어, AssessingExperimentallyDerivedInteractionsInaSmallWorld 를 읽는중. 우연히 찾은건데, [Linked]책에서도 익숙한 SmallWorld내용이 나와서 함 읽어보기로 했다. 원문[PDF]를 혹시 구할수 있을까 하고, [Google]서 논문 제목 그대로 적었더니 바로나오데... 왠만한건 구글서 다 찾을수 있을듯.


2003-08-11

잠시간 접었던 ScienceConcert책 마져 읽다가, 생각난김에 언젠간 정리하리라 맘먹었던 [Chaos]관련페이지들을 주욱 만들어봤다. 분명히 이 세상에 많은부분 영향을 미치고 있을 비선형세계. 그것의 이해를 통해서 [Life]현상의 많은것들도 알수 있지 않을까 늘 생각중.

  • 저도 막연하게나마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최근 올려주신 페이지들이 참 제게 많은 도움이 되는군요 이해하려면 아직 먼것 같지만요 --[indigoH]

    이쪽동네 얘기가 마치 뜬구름잡는것같은 성향이 있는듯. 최근 연구성과가 어떤지도 잘 알려지지 않구(물론, 내가 안찾아봐서겠지만)


좀 빠른시일내에 WxPython으로 [GUI]프로그램하나 만들어야할 일이 생겼다. 예전에 경험은 좀 있지만서도, 또 막상 만들려니 두렵군. 일단 UserInterface설계중. WxPython관련 문서 수집중.


[urseason]이 메신저로 [SQL]문제 하나를 냈다. 다음과 같은 테이블(name : emp)에서

deptno(부서)

sal(급여)

.

.

부서별 합을 나타내고, 마지막에 총합을 표시하는 [SQL]은? 이거, 기초적인 select * from where 만 하는 나한테 꽤 어려운문제. 정답은?

select decode (no ,1,deptno,2,99),sum(ssal) 
from (select deptno,sum(sal) ssal from emp group by deptno) t1,
     (select 1 no from dual union all select 2 from dual) t2 
group by decode (no ,1,deptno,2,99);


2003-08-19

내안으로부터의 변화를 꿈꾸며 뭔가 변해보고자 노력중.


BioSeqStat을 만들면서, PmfSimulation 을 random서열로 하는 부분을 완성했다. 결과는... 역시나 생각했던대로, 랜덤서열역시 진짜서열과 같은 분포를 보였다. 작은 조각들이 많고, 클수록 급격히 작아진다는 분포는 생물학적 특이점이 아니였던것이다.

이건, 어떤 간단한 종류의 통계분포인것같은데, 통계학공부가 모자라다 보니, 잘 모르겠네. study more [Statistics]~


엊그제, 제부도 갯벌 나들이. 이날의 사진들

사진은 동생녀석. 우리집에서 그리 멀지않은곳이다. 약 한시간만에 바다를 가볼수 있다는것 자체가 참 좋다.


어글질들 때문인가, 요즘은 힙합노래가 참 듣기좋다. 일하면서 헤드폰끼구... VimEditor로 코딩중... 듣는노래 CB MASS 동네한바퀴


FibHeapMicroSoft윈도에다 깔다가 계속 실패중. visual studio 의 cl.exe를 이용해서 컴파일을 하는것 같은데, 자꾸 에러난다. [Linux]에선 이상없는것이... 그래서, 컴파일러를 [GCC]를 쓸라고 하는데, 이거 어떻게 하는건지 도통 모르겠다.


2003-08-22

[2003-07]-04에 처음 고민했었던, 게시판 프로그램을 구현할 시기가 된것 같다. 정작 게시판이 필요한 시기에, 제로보드니, 상업용이니 하는것들때문에 걸리적대기 시작. 내 입맛에 맞는 게시판 프로그램 하나정도는 있어야 앞으로 뭘하든 수월하지 않을까. 공부한다고 생각하고 시작하자. 일단 프로젝트 이름. YongEiBoard


회사에서 FactorAnalysis에 대한 세미나가 있었다. 통계에 대한 무지함을 실감하며, 어떻게든 공부해야할 [Statistics]. 대책이 필요하다.


저녁하늘이 예술이다. 입체적모양의 갖가지 구름들하며, 구름들 사이의 무지개. 사진찍었슴.

http://bioinfo.sarang.net/technote/board/yongsalbum/upimg/1061692977.jpg


2003-08-28

[The8020Principle]책을 출퇴근하며 읽는중. 불평등하다고 한숨만 질것이 아니라. 20에 속한 사람들은 그 이유가 있다. 물론 80에 속한 사람들 역시 그 이유가 있다.


Seminar:개발자란직업 글을 읽다가 참 반대되는 이야기 두편.

충분한 자유시간, 넉넉한 연구환경에 의한 연구성과향상(아인슈타인이 성공한 것은 공무원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반대

이 두 글에서 무엇을 느낄 수 있는가. 두 글에서 반대의 결론을 내지만, 두 글 다 다양성에 투자하고 있다고 본다. 계속해서 정체하지 않고, 자극받고, 리프레쉬되는것. 목표점지향적인것. 그것이 이 두 반대되는 상황들을 모두 성공으로 이끌고 있지 않는가 싶다.


IriomNet갔다가 재밌는 글들을 많이 봤다. SangeunChiInlineSkate관련 많은 경험들 참 재밌게 잘봤다. 그리고, 그림한장도...

http://www.iriom.net/wiki/upload/treasure.jpg


(<-)

[../2003-07]

[../2003-09]

(->)


CategoryWebLogYong

yong27/2003-08 (last edited 2011-08-03 11:00:44 by localhost)

web biohacker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