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동정
Proteomics연구분야에서 ProteinIdentification은 매우 중요하다. 미지의 Protein들을 TwoDiPage등의 ProteinSeparation방법으로 각각 분리해 놓고, 이들 Protein의 변화패턴을 연구하는 분야다 보니, 이들 미지의 단백질들이 과연 어떤 단백질인가를 알아내는 작업이야 말로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최근에는 주로 MassSpectrometry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와 단백질 주석데이타베이스의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해당 단백질이 어떤 단백질 이였는가를 결정 내리게 된다. 물론, 처음 밝혀지는 단백질의 경우 주석데이타베이스에 없는 단백질일테니, 데이터베이스 비교분석만으로는 알아낼 수 없고, 다른 실험과정들을 거쳐야만 한다.
단백질 동정에 사용될 수 있는 실험데이타로는 Protein IsoelectricPoint, 분자량, PeptideMassFingerprint, AminoAcid Composition, EdmanSequencing 및 PostSourceDecay에 의한 Partial Sequence등이 있으며, 모든 방법들이 기존의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가능하다. 또한, 한 가지 데이터로는 동정의사결정을 충분히 내릴 수 없으며, 두 가지 이상의 상보적인 데이터가 같이 있어야 단백질이 동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단백질동정에 사용되는 최소의 실험데이터를 MinimalProteinIdentifier(MPI)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