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liottSober저 생물학의철학 http://chanhong.hannam.ac.kr/ubbcgi/ultimatebb.cgi?ubb=forum;f=19
제목그대로, 생물학연구의 철학적인 면을 다룬다. 생명, Evolution에 관한 연구는 어떤 철학적의미를 갖는가. 과학적 방법론이란 무엇인가(AboutScience)에 대한 생물학입장에서의 체계적이고, 논리적, 철학적인 내용들.
Contents |
차례
진화론이란 무엇인가
Evolution의 대표적인 개념은 "공통조상"과 NaturalSelection. CharlesDarwin의 업적은 바로 이 상이해보이는 두가지를 연결한 것.
계속적인 Inbreeding은 heterozygote의 비율을 떨어뜨린다.
창조론
ThomasAquinas (1224-1274)의 설계논증은 그 긴역사만큼 오랫동안 인간의 머릿속에 남았지만, DavidHume의 DialoguesConcerningNaturalReligion (1779)에 의해, 결정타를 맞았다. 그 이후에도 몇몇 논문집 등에 의해 설계논증은 모습을 드러내지만, 그것들은 강시였다. 이미 시체가 되어 몸이 굳었는데도 나와 돌아다닌 것이다.
WilliamPaley의 시계공논증은 흄에 두가지 논증(유비논증, 귀납논증)에 의해 비판받지만, 더 강력한것은 NaturalSelection은 무작위적인 과정이 아니라는 점(SeeAlso TheBlindWatchMaker. 그리고, Falsifiability
적응도
적응도는 생존력과 번식력
Probability에 대한 철학적고찰 : 확률적진술은 그 내부 메커니즘에 대한 무지를 드러내는것(?) 하지만, SchrodingersCat처럼 QuantumMechanics입장에서의 확률은 무지가 아닌, 진짜 불확정성이다. 대신, 생물에서의 확률은 양자역학에서의 그것과는 다르다.
선택 단위 문제
이타주의가 개체의 적응도를 낮추는데도 불구하고, 선택되는 이유 (->) SimpsonsParadox
적응주의
계통분류학
사회생물학과 진화론의 확장